발행일: 2025-11-26 11:09 (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8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8. 관해(觀海, 寬海)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8. 관해(觀海, 寬海) 스님

    관해(觀海, 寬海) 스님은 17세기 전·중반을 대표한 조각승 응원(應元, 應圓) 스님과 인균(印均, 仁均, 印筠) 스님의 제자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당대 여러 명산대찰 전각에 불상을 제작한 조각승이다. 스님은 초기에 스승인 응원인균 스님을 보조하며 불상 조성에 참여했고, 이후에 후배 조각승인 회감이나 제자인 초안 스님 등과 함께 작업하며 자신만의 조형적 특징을 갖춘 작품을 만들었다. 관해 스님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은 1624년 음력 9월에 응원·고한(高閑)·인균 스님과 함께 순천 송광사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과 소조십육나한상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11-21 10:40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7. 천신(天信)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7. 천신(天信) 스님

    천신(天信) 스님은 17세기 전·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응원(應元, 應圓) 스님과 인균(印均, 仁均, 印筠) 스님의 제자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17세기 중반 불교조각의 양식 형성에 크게 기여한 작가이다. 스님은 스승인 인균 스님을 보좌하며 사찰과 암자에 다양한 불상을 조성했고 제자인 색난(色難, 色蘭) 스님을 배출해 자신만의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했다.천신 스님에 관한 가장 이른 기록은 1654년 11월 화순 모후산 사자암에서 수화승 인균 스님 및 부화승 해익(海益) 스님 등과 함께 목조보살좌상(현재 순천 송광사 부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11-07 10:21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6. 보해(寶海, 普海)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6. 보해(寶海, 普海) 스님

    보해 스님은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희장(熙藏) 스님의 제자로서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17세기 후반 불교조각의 주요 양식 형성에 기여했다. 그는 스승인 희장 스님을 보좌하면서 사찰의 중심 전각과 부속 전각에 다양한 불상을 조성했으며 이러한 조각 활동을 통해 희장 스님이 배출한 수많은 제자들 가운데서도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했다.보해 스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646년 9월 구례 반야봉 수도암에서 수화승 승일(勝日) 스님과 부화승 희장 스님 등과 함께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제작한 것이다. 이때 조성된 불상 가운데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10-24 10:31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5. 희장(熙藏, 熙莊, 熙壯, 希藏)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5. 희장(熙藏, 熙莊, 熙壯, 希藏) 스님

    17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승일 스님은 응혜(應惠) 스님, 희장(熙藏) 스님, 계찬(戒贊) 스님 등 다수의 제자를 배출했으며, 이들은 17세기 중반 이후 불교조각의 주요 양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중 희장 스님은 전라도와 경상도를 오가며 사찰의 중심 전각 및 부속 전각에 불상을 조성했다.희장 스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636년 12월에 부여 무량사에서 수화승 승일(勝一) 스님과 함께 여러 불상을 제작한 것이다. 이때 제작된 불상 중 하나가 현재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도 유형문화유산)이다. 당시 희장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10-03 10:36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4. 혜희(惠熙, 慧熙)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4. 혜희(惠熙, 慧熙) 스님

    조각승 혜희 스님은 17세기 중반 공주 계룡산에 거주하면서 충청과 전북, 나아가 경북 지역 사찰의 부속 전각이나 암자에 불상을 제작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혜희 스님의 활동 시기는 1640년부터 1677년까지로, 10건 14점(수화승으로 7건 9점)의 불상을 제작했다.혜희 스님은 1640년 음력 2월부터 4월까지 법령 스님을 도와 군산 불명사 아미타삼존(본존은 익산 숭림사 봉안), 석가삼존, 미타상, 독성상을 제작할 때 6명 가운데 네 번째 보조화승으로 참여했다. 1641년 6월 임금과 왕비의 만수무강을 빌고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 볼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9-19 10:29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3. 응혜(應慧·應惠)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3. 응혜(應慧·應惠) 스님

    1640년대에 이르러 전국적으로 도(道)·부(府)·목(牧)을 대표하는 사찰의 중심 전각이나 부속 전각이 중건되면서 수많은 불상이 조성됐다. 이러한 불상 제작의 수요 증가는 실력 있는 조각승들이 늘어나는 기반이 되었다. 17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승일 스님의 제자였던 응혜 스님과 계찬 스님은 30~40년에 걸친 작품 활동이 체계적으로 연구된 작가로서 전국 여러 사찰에 그들의 작품이 전하고 있다.조각승 응혜 스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634년 7월 밀양 표충사 목조삼전패 조성묵서에서 확인된다. 당시 그는 스승 승일 스님과 함께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9-05 11:35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2. 청허(淸虛)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2. 청허(淸虛) 스님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 수화승으로 활동한 조각승 청허 스님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부터 1640년대 후반까지 활동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청허 스님이 부화승이나 차화승으로 활동했던 1630년대의 구체적 활동은 확인되지 않는다.조각승 청허 스님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1605년 음력 3월부터 7월까지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을 만든 후, 음력 8월부터 11월까지 완주 위봉사 북암에 4구의 목조보살입상(완주 위봉사익산 관음사[보물], 익산 혜봉원)을 조성한 것이다. 이 시기 청허 스님은 수화승 원오 스님과 함께 불상 조성에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8-22 10:33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1. 청헌(淸憲·淸軒)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1. 청헌(淸憲·淸軒) 스님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전반 명산대찰인 보은 법주사, 구례 화엄사, 완주 송광사 등의 중심 전각에 나무와 흙으로 초대형 불상을 만든 대표적인 조각승은 청헌 스님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청헌 스님이 젊은 시절 보조화승으로 작업했을 당시의 문헌이 발견되지 않아, 스승이나 선배가 누구였는지 알 수 없다. 일부 연구자는 청헌 스님과 청허 스님을 같은 인물로 여기지만 아직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조각승 청헌 스님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1626년 음력 3월부터 7월 말까지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을 조성할 당시의 것이다.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8-08 10:43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0.승일(勝日, 勝一)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0.승일(勝日, 勝一) 스님

    17세기 중반 시군을 대표하는 사찰의 대웅전이나 명부전 및 부속 암자에 봉안할 불상을 주도적으로 만든 조각승은 30여 명에 이르고, 이 가운데 오랜 기간 전국을 무대로 불상을 조성한 조각승은 승일 스님이다. 조각승 승일 스님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1622년에 당대 최고의 조각승인 현진 스님, 수연 스님, 응원 스님 등이 왕실에서 발원한 내원당(內願堂)인 자수사와 인수사에 봉안할 11구의 불상(현재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국립중앙박물관,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서울 칠보사와 안동 선찰사에 각각 봉안, 보물)을 제작할 때 쇠를 다루는 야장(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7-18 10:56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9. 해심(海心, 海深)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9. 해심(海心, 海深) 스님

    1640년부터 1660년대까지 명산대찰의 부속 전각인 명부전(冥府殿)이나 영산전(靈山殿), 시군을 대표하는 사찰의 중심 전각에 불상을 주도적으로 만든 조각승은 30여 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해심 스님은 무염 스님의 계보를 계승하면서 미적 완성도가 높은 불상을 만든 조각승이다. 해심 스님의 조각승 계보와 주요 활동은 해남 도장사 목조석가여래좌상(도 유형문화유산) 대좌 바닥에 적힌 조성묵서(造成墨書)와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밝혀졌다. 도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의 조성발원문에는 1648년 청신거사(淸信居士) 90세 김춘학(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7-04 10:31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8. 성수(性修, 性守)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8. 성수(性修, 性守) 스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끝난 후 30여 명의 조각승들이 1600년부터 1630년대까지 명산대찰(名山大刹)의 중심 전각인 대웅전이나 극락보전, 고승대덕(高僧大德)이 거주한 암자에 주도적으로 불상을 조성했다. 이후 배출된 수십 명의 제자들이 1640년부터 1660년대까지 명산대찰의 부속 전각인 명부전(冥府殿)이나 나한전(羅漢殿, 靈山殿),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의 대웅전에 불상 제작을 주도했다. 이들 가운데 성수(性修, 性守) 스님은 무염 스님의 계보를 계승하면서 미적 완성도가 높은 불상을 만든 조각승이다. 성수 스님은 고양 원각사 목조지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6-20 10:47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7. 무염(無染)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7. 무염(無染) 스님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무염(無染) 스님은 1633년 2월부터 7월까지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비로자나약사아미타불)을 제작한 후, 1634년 4월 법당으로 옮겨 봉안하였다. 이 불상은 수화승 무염이 도우(道祐)·성수(性修)·해심(海心) 스님 등과 만든 1630년대를 대표하는 대형불상이다. 그 후에도 스님은 수화승으로 1635년 영광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 1649년 남양주 불암사 목조보살좌상(완주 대둔산 묘련암 조성) 및 1650년 8월 무주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그런데 무주 관음사 관음보살상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6-06 13:26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6. 인균(印均·仁均·印筠)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6. 인균(印均·仁均·印筠) 스님

    인균 스님은 17세기 전반 전라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응원 스님과 함께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조각승이다. 응원 스님과 인균 스님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문헌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스님이 제작에 참여한 15건의 불상 중 7건을 응원 스님과 함께 작업했다. 특히 1610년부터 1630년대 중반까지 응원 스님을 따라 대부분 작업을 한 것으로 보아, 선후배 사이라기보다는 사제지간일 가능성이 높다. 응원 스님이 1635년에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불좌상을 제작한 후 활동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지만, 인균 스님은 1640년대부터 1660년대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5-23 10:00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5. 행사(幸思)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5. 행사(幸思) 스님

    임진·정유재란(1592~1598)이 끝난 1600년대 불상 제작과 중수를 주도한 조각승으로 현진(玄眞) 스님, 석준(釋俊·釋峻) 스님, 광원(廣圓) 스님, 원오(元悟·圓悟) 스님이 밝혀졌다. 이 스님들은 종교적인 믿음과 불상 제작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불사를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599년에 석준 스님과 원오 스님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등을 중수·개금했다. 이 문수동자상은 1466년에 세조의 딸 의숙공주와 사위 정현조가 아버지인 세조의 무병장수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만든 불상으로, 종전 후 왕실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5-05 15:47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4. 응원(應元·應圓)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4. 응원(應元·應圓) 스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파괴된 사찰을 중건하면서 사찰에 주도적으로 불상을 제작한 조각승은 현진(玄眞)·원오(元悟·圓悟)·수연(守衍)·법령(法靈)·응원(應元) 스님 등 20여 명에 이른다. 이 조각승들이 어느 사찰에 거주했는지 관련 문헌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고 불상을 조성한 지역을 중심으로 추정할 뿐이다. 이 가운데 응원 스님은 〈금산사사적기(金山寺事蹟記)〉에 “주지인 장로 지훈(智訓)이 일을 계승하여 꾸리고, 대사 천택(天澤), 용면(龍眠)대사 응원(應元) 등이 법고를 두드려 대중을 모으고 불사에 힘을 쏟았다(寺中住持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4-18 09:25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3 .법령(法靈·法令·法玲)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3 .법령(法靈·法令·法玲) 스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왜구에 의해 파괴된 사찰은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사찰에서 전각과 불상 및 불화 등을 새로 제작했다. 이와 같은 중건 과정에 대한 문헌기록이 거의 전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 조각승들의 활동 시기나 작업 환경을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다. 따라서 전각과 불상의 조성 과정은 사찰 중창과 관련된 단편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그 대표적인 문헌은 익산 관음사 목조문수보살입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이다. 이 조성발원문은 1605년에 완주 위봉사 북암에 4구의 보살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4-14 11:06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2. 인일(仁日·因日)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2. 인일(仁日·因日) 스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기간에 의승군(義僧軍)의 활동으로 사찰은 왜구들에게 종교적인 성소(聖所)가 아닌 저항 세력의 거점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남해의 해상권을 빼앗긴 왜구들이 철저히 육지에 고립되면서 의승군의 주요 활동지인 전남 구례 화엄사(華嚴寺)와 전북 김제 금산사(金山寺) 등이 파괴되었고, 종전 후 전각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사찰이 많았다는 기록이 전해질 정도이다. 1600년부터 1620년대까지는 우리나라 사찰을 대표하는 삼보사찰(통도사, 해인사, 송광사)과 왕실의 원찰(願刹) 및 고승대덕(高僧大德)이 거주하는 암자가 먼저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3-21 10:46
  •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 각심(覺心) 스님

    [최선일의 불모열전 시즌2] 1. 각심(覺心) 스님

    임진·정유재란(1592~1598) 중 왜구에 의해 파괴된 사찰은 1600년대 초 전각 건립, 불상과 불화 조성 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 중심 법당에는 석가여래삼불좌상이나 아미타여래삼존상 등이 봉안되었는데, 이 불상들은 여러 명의 승려 장인들이 공동 작업으로 제작하였다. 이 시기 불상을 주도적으로 만든 조각승은 현진(玄眞) 스님, 원오(元悟, 圓悟) 스님, 수연(守衍) 스님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조각승들은 사승 관계와 작업 환경을 밝힐 수 있는 문헌이 발견되지 않아 구체적인 접근이 쉽지 않다. 이에 2000년 이

    최선일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장
    03-14 10:47
  •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