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국가유산청, 소산 작업
봉정사, 부석사 등 불상 불화
박물관, 지역 기관에 이운해
기장 장안사에도 산불 인접
지난 3월 22일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의성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며 확산되는 가운데, 화마에 불교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한 불교계와 문화유산 당국의 고군분투가 이어지고 있다.
경북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등 지역 사찰과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산불이 확대된 3월 25일부터 중요 동산문화유산들을 안전지대로 소산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안동 봉정사의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목조관음보살좌상, 영산회 괘불도, 아미타 설법도는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로 급히 이운됐다. 시도유형문화유산 봉정사 소장유물 책판 12종 60점, 탱화 2점, 고승진영 9점은 예천박물관으로 보내졌다.
이를 위해 국가유산청은 무진동 차량 2대와 가용인력을 총동원해 성보유산들을 옮겼다. 다만, 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웅전 벽화나 일부 보물은 봉정사 유물전시관인 성보관에 보관 중이다. 봉정사의 성보관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조성돼 약 12시간 정도 화염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이 국가유산청의 설명이다.
산불 북상으로 영주 부석사도 3월 25일부터 방화선을 구축하고 성보유산들을 이운하는 등 본격적인 화재 방재 작업에 들어갔다. 보물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3종 634점과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은 영주 소수박물관으로, 시도유형문화유산인 영주 부석사 조사당 목조의상대사좌상은 된장체험단지로 각각 이운됐다.
보물 경북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갈안초등학교로, 복장유물(발원문1점, 묵서편 1점, 저고리 1점, 후령통 일관 5점)은 안동시립박물관에서 이운·보관된다. 보물 영덕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영산회상도·지장시왕도는 영해면사무소로 이운됐다.
시도유형문화유산 안동 봉황사 삼세불화·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목조삼전패는 세계유교문화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보물 연수전 등 전각 18채가 소실된 의성 고운사는 화마가 덮치기 전인 3월 24일 이동이 가능한 불상, 불화, 고서 등 비지정 유형문화유산을 영주 부석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운했다. 소장 중이었던 보물 석조여래좌상도 3월 25일 오후 3시 30분 경 안동청소년문화센터로 옮겨 피해를 막았다.
울주군 산불이 확산되며 부산 기장군 소재한 사찰들도 발빠르게 대응 중이다. 현재 부산 기장 장안사 1km 부근까지 불길이 내려온 상황으로 전해졌다.
기장 장안사 측은 급히 경내에 있는 문화재를 옮기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부산박물관에서도 현장에 나와 문화유산 긴급 이운 작업을 돕고 있다.
부산시 기장군은 주민들에게 안전 문자로 “장안읍 인접 지역에서 발생한 울주군 산불이 지속되고 있으니 장안사 인근 산행을 최대한 자제해 주시기 바란다”며 안전에 대한 대비를 촉구했다.
장안사 관계자는 “산불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문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대피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3월 25일 오후를 기해 국가유산 재난 위기 경보를 가장 높은 수위인 ‘심각’으로 발령했다. 위기 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나뉜다.
신중일·하성미 기자
|
지역 |
사찰명 |
종목 |
문화유산명 |
지정수량 |
소산수량 |
소산현황/위치 |
|
경북 의성 |
고운사 |
보물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
1점 |
1점 |
안동청소년문화센터 |
|
경북 영주 |
부석사 |
보물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
3종 634점 |
3종 634점 |
영주 소수박물관 |
|
보물 |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
1점 |
1점 |
영주 소수박물관 |
||
|
시도유형문화유산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목조의상대사좌상 |
1점 |
1점 |
된장체험단지 |
||
|
경북 안동 |
봉정사 |
보물 |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1점 |
1점 |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
|
보물 |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도 |
1점 |
1점 |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
||
|
보물 |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
1점 |
1점 |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
||
|
시도유형문화유산 |
봉정사소장유물 |
책판 12종 601점, 탱화 2점, 고승진영 9점 |
고승진영 9점 |
예천박물관 |
||
|
경북 안동 |
봉황사 |
시도유형문화유산 |
안동 봉황사 삼세불화 |
3점 |
3점 |
세계유교문화박물관 |
|
시도유형문화유산 |
안동 봉황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3점 |
1점 |
세계유교문화박물관 * 협시는 소조불, 미소산 |
||
|
시도유형문화유산 |
안동 봉황사 목조삼전패 |
3점 |
3점 |
세계유교문화박물관 |
||
|
경북 안동 |
선찰사 |
보물 |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불상 1점, 조성발원문 1점, 묵서편 1점, 저고리 1점, 후령통 일괄 5점 |
불상 1점, 조성발원문 1점, 묵서편 1점, 저고리 1점, 후령통 일괄 5점 |
길안초등학교 |
|
경북 영덕 |
장륙사 |
보물 |
영덕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1점 |
1점 |
영해면사무소 |
|
보물 |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 |
1점 |
1점 |
영해면사무소 |
||
|
보물 |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 |
1점 |
1점 |
영해면사무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