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중흥’ 원력으로 정진하고 걷다
​​​​​​​
2019년 11월 11일 천막결사 시작
아홉 스님 정진, 만행결사 동력돼
코로나 창궐로 국토 순례로 전환
시대의 아픔 보듬는 순례, 자비행
법인화 통해 각종 포교사업 추진

2020년 만행결사 예비순례에서 참가자들이 도열해 걷고 있다. 상월결사 순례는 ‘불교중흥’의 기치 아래 정진하고 걷고 있다.
2020년 만행결사 예비순례에서 참가자들이 도열해 걷고 있다. 상월결사 순례는 ‘불교중흥’의 기치 아래 정진하고 걷고 있다.

“이 자리에서 내 몸은 말라버려도 좋다. 가죽과 뼈와 살이 녹아버려도 좋다. 어느 세상에서도 얻기 어려운 저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이 자리에서 죽어도 결코 일어서지 않으리라. 저희의 맹세가 헛되지 않다면, 이곳이 한국의 붓다가야가 될 것입니다.”

2019년 11월 11일. 아홉 스님의 의지는 결연했다. 눈과 비, 혹한의 추위를 겨우 피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아홉 스님의 치열했던 동안거는 시작됐다. 

조계종 前 총무원장 자승 스님을 비롯한 무연·성곡·진각·호산·심우·재현·도림·인산 스님은 위례신도시 포교거점사찰 건립용지에 마련된 천막법당 ‘상월선원’에서 2019년 11월 11일부터 2020년 2월 7일까지 용맹정진을 진행했다.   

아홉 스님 정진… 상월결사 효시
위례 상월선원 천막결사는 조계종 총무원장 퇴임 이후 2차례 백담사 무문관에서 동안거 정진을 했던 자승 스님의 “안거 한철만이라도 치열하게 정진해보자”는 제안으로 시작됐다.

이들 스님들은 천막법당에서 △하루 14시간 이상 정진 △하루 한 끼 공양 △옷 한 벌만 허용 △양치만 허용하고 삭발·목욕 금지 △외부인 접촉 금지하고, 천막 벗어나지 않기 △묵언 등을 골자로 한 청규를 정하고 스스로를 가둔 채 수행에 매진했다.

아홉 스님들은 새벽 2시 기상해 죽비로 예불을 올리고 하루 14시간 정진을 이어갔다. 정진은 50분 참선, 10분 포행의 형식으로 이뤄졌다.

극한 환경에서의 수행이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정진 대중의 정진력은 날카로워져갔다. 한 끼 공양마저 마다하고 곡기를 끊고, 두부 4쪽·방울토마토 3개·나물무침 2젓가락만 섭취하는 스님도 있었다. 70여 일이 지날 즈음에는 대중스님 중 한 명이 의식을 잃는 응급 상황이 발생해 의료진이 출동했지만, 정신을 차린 스님은 “수행을 방해하지 말라”며 다시 정진에 들어가기도 했다.

이 같은 아홉 대중스님의 정진력은 결사의 원동력이었고, 이는 대중들을 감화시켰다. 2019년 11월 11일 입재 이후 한 달여 만에 5만여 사부대중이 전국에서 모였고, 회향까지 10만여 명이 스님들의 정진에 함께했다. 스스로 체험관에서 무문관 수행을 한 불자들도 110명에 달했다.

2020년 2월 7일 닫혀있던 천막의 문이 열리고 비로소 아홉 스님들이 세속으로 나오며 상월선원 천막결사는 회향했지만, 아홉 스님의 정진은 불교중흥의 기치 아래 만행결사 자비순례(2020)·삼보사찰 천리순례(2021)·평화방생순례(2022)·인도순례(2023)로 이어지는 원동력이 됐다. 

천막결사 이후 이어진 자비·삼보순례
상월선원 천막결사 회향 후 3개월 뒤 새로운 만행결사가 시작되려했다. 상월선원 총도감 호산 스님과 지객 원명 스님은 2020년 5월 2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월선원Ⅱ 만행결사’ 계획을 밝혔다.

‘상월선원Ⅱ 만행결사’는 2020년 11월 17부터 12월 31일까지 45일간 인도와 네팔의 부처님 성지인 녹야원·부다가야·룸비니 등을 도보로 순례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총 거리 1080km, 하루에 평균 30km를 걷는 대장정이었다.

순조롭게 준비되던 상월선원 시즌2 만행결사는 예기치 못한 복병을 만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를 흔들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인도 만행결사를 위한 준비는 이어졌다. 상월결사는 11월경 인도 날씨와 가장 비슷한 2020년 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 태화산 한국문화연수원에서 예비순례를 진행했다. 예비순례 참가자들은 예정된 인도 만행결사의 일정과 똑같이 새벽에 일어나 걷고 모여서 토론했다. 하지만 인도로 가는 길은 쉽게 열리지 않았다.

상월선원 만행결사 대중은 2020년 8월 27일 간담회를 열고 불교 중흥과 국난극복을 위한 500km 대장정인 ‘불교 중흥·국난극복 자비순례’ 계획을 처음 밝혔고, 10월 7일부터 27일까지 순례를 진행했다. 동화사에서 시작된 자비순례는 구미 신라불교 초전지-낙단보 마애불-문경새재-서울 봉은사를 거쳐 결사의 시작점인 위례 상월선원을 다시 찾으며 마무리됐다. 

순례단은 매일 수십km를 걷느라 힘든 와중에도 한국불교 미래를 모색하는 자리도 가졌다.  10월 15일에는 문경 STX리조트에서 ‘상월결사의 시대적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교계 안팎의 학자들이 동참한 가운데 대중공사를 진행했다. 10월 23일에는 양평 소노문리조트에서 2차 대중공사가 열렸다. ‘한국불교, 어디를 걷고 있으며,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렸다. 

1년 뒤인 2021년 8월 26일 새로운 대장정 계획이 발표됐다. 상월결사는 이날 ‘상월선원 만행결사 삼보사찰 천리순례’ 일정을 확정 발표했다. 삼보사찰 천리순례는 불교의 기본인 삼보에 대한 예경과 이를 통한 불교중흥의 발원이 담겨 의미를 더했다.

상월결사 회주 자승 스님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삼보사찰 천리순례를 발원한 것은 불법승 삼보의 존귀함을 다시 한 번 알리기 위함”이라며 “삼보사찰 천리순례는 승보로 출가, 법보로 수행, 불보로 깨달음의 과정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10월 1일 송광사에서 출발한 삼보순례단은 사성암-화엄사-해인사 등을 거쳐 10월 18일 통도사에서 순례를 회향했다. 

순례 코스마다 다양한 문화프로그램들이 진행된 점도 눈길을 끌었다. 순례를 입재한 송광사에서는 괘불재가 봉행됐다. 송광사 괘불은 1961년 일섭 스님 등 13명의 화승이 조성한 것으로 60년 만에 처음 대중에 공개됐다. 사성암에서는 ‘길 위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스토리텔링 공연이 진행됐으며, 화엄사에서는 화엄음악제가 열렸다. 

상월결사, ‘Phase2’ 준비하다
2022년은 전쟁과 자연재해 등 환난으로 점철됐다. 상월결사는 환난을 극복하기 위한 ‘평화방생’순례와 조계종과 우크라이나 난민 구호 캠페인들을 전개했다. 평화방생순례는 3월 대흥사를 시작으로 4월 월정사, 5월 백양사, 7월 법주사, 8월 은해사, 10월 화엄사로 이어졌으며, 매회차마다 2000여 명이 동참해 눈길을 끌었다. 6월 27일 상월결사는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한 구호 기금 20만 달러를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에 전달했다. 

2022년은 상월결사의 수행과 각종 사업의 기반이 놓여진 해이기도 했다. 4월 23일에는 상월결사의 중심터전 될 위례신도시 ‘상월선원’ 대웅전 상량식이 봉행됐다. 구랍 18일에는 상월결사 사단법인 창립총회가 열렸다. 

사단법인 상월결사 이사회에는 이사장 상월결사 회주 자승 스님을 비롯해 상임이사 봉은사 주지 원명 스님, 동국대 건학위원장 돈관 스님, 조계종 교육원장 혜일 스님, 교구본사주지협의회장 덕문 스님, 조계사 주지 지현 스님, 총무부장 호산 스님(상월결사 총도감), 정충래 동국대 이사, 박기련 동국대 건학위 사무총장이 이름을 올렸다.

2023년부터 상월결사는 대학생 포교 사업을 비롯해 ‘상월포럼’과 ‘상월아카데미’ 등을 새롭게 시작한다. 상월포럼에서는 매분기 정기포럼과 지역본부별 포럼, 각종 학술대회와 상월결사 정신을 계승하는 자료 발간을 진행한다. 상월아카데미는 상월결사 체험프로그램, 상월결사 학술연구, 유튜브와 SNS활성화, 회원사찰 홈페이지 관리 교육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계묘년 새해에는 3년여간을 준비한 상월결사 인도순례가 비로소 이뤄진다. ‘상월결사, 부처님과 함께 걷다’를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순례는 오는 2월 9일부터 3월 23일까지 총 43일간 진행된다. 순례코스는 인도, 네팔의 부처님 탄생부터 열반지까지 부처님 8대성지를 순례하는 길이며 그동안의 상월결사 순례와 마찬가지로 길 위에서 먹고 자고 행선하며 부처님처럼 전법수행을 펼친다.

천막법당에서 시작한 상월결사는 국토를 도보순례하며 국난극복과 불교중흥, 세계평화를 발원하는 무차(無遮)의 법석으로 나아갔다. 4년의 여정은 걸음마다 중생 행복을 위한 서원이 담겼다. 그 걸음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