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7일 서울 조계사 앞서 시민캠페인
불교기후행동 "대선 후보 기후정책 낙제점"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기후공약이 실종됐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불교계가 주요 대선 후보자들의 공약이 ‘낙제점’이라고 평가하고 직접 시민들에게 환경정책을 알리는 홍보 활동에 나섰다.
불교기후행동(상임대표 일문 스님)은 5월 27일 서울 조계사 앞에서 시민들에게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한 ‘기후환경정책’을 알리고, 직접 원하는 정책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는 방식의 거리 캠페인을 진행했다.
캠페인에서는 △기후 정의세 시행과 삶의 최저선 보장 △정의로운 탈석탄법과 공공재생에너지법 제정 △기후생태위기 대응 헌법 개정 △국가온실감스 감축 목표 상향 및 기후정의법 개정 △생태파괴 부르는 난개발 중단 △핵발전소 연장 중단을 포함한 탈핵 정책 △플라스틱 감축목표 설정 및 산업폐기물 관리 로드맵 마련 △4대강 자연성 회복과 지속가능한 물관리 계획 △해양오염 방지 및 갯벌 복원의 9가지 정책이 제안됐다.
캠페인에서 시민들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은 정책은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와 ‘발전 노동자 고용보장’이었고, 다음으로는 ‘기후생태위기 대응 헌법 개정’과 ‘탈플라스틱 사회’, ‘값비싼 원전 중단’이 뒤를 이었다.
앞서 불교기후행동은 ‘지구의 날’인 4월 22일 대화마당을 열고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논의한 바 있다. 이때 성안한 정책을 바탕으로 불교환경연대(상임대표 법만 스님)는 5월 14일 대선 후보와 정치권에 ‘기후재난 극복 정책제안서’를 전달했다.
대선 후보자들의 기후공약을 검토한 불교기후행동은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가장 많이 맞닿아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강조했지만 신공항개발사업은 정치적인 이유로 계속할 수밖에 없다고 밝혀 신공항을 반대하는 시민의 목소리와 상반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원전 확대를 이야기할 뿐 기후위기 대응 정책이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불교기후행동이 참여하고 있는 기후위기비상행동은 5월 23일 진행된 대선 후보 2차 TV토론과 관련해 25일 논평문을 내고 “후보자들은 기후변화라는 구체적인 위기 앞에서 설익은 인식만 내세웠을 뿐, 기후재난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후보자들이 기후위기의 시대에 전향적 전환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하지 못했고, 개헌 이야기가 나오는 시점에 기후생태헌법에 기초한 국가기조 재수립에 대한 비전이 부재했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