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캐럴 캠페인’에 범종단 강경대응
종단협, 11월 30일 청와대에 항의서한
조계종 넘어 범종단 차원서 대응 확대
"중단 없을시 더이상 좌시 않겠다"경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특정종교음악인 캐럴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캠페인을 추진키로 한 것과 관련, 한국불교종단협의회가 긴급회의를 열고 강경대응을 결의했다. 이는 단순히 정부기관의 ‘캐럴’ 홍보에 대한 문제 제기를 넘어, 그간 수차례 반복된 종교편향·불교소외 사안으로 누적됐던 불교계 공분이 격화된데 따른 것으로 주목된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의장 원행, 이하 종단협)는 11월 30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캐럴 활성화 캠페인을 심각한 종교편향으로 규정하고 회장단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긴급회의에는 조계종 기획실장 삼혜 스님과 특보단장 혜일 스님(조계종 종교편향 불교왜곡 범대책위원회 사무처장), 종단협 사무총장 도각 스님, 사무처장 진경 스님, 관음종 총무원장 홍파 스님이 참석했다. 긴급소집으로 인해 천태종과 진각종, 총지종, 대각종은 총무부장 등 대리소임자가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캐럴 활성화 캠페인’에 대한 범종단 차원의 강경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즉시 항의서한을 채택하고 연계일정으로 청와대에 이를 전달하는 등 즉각적으로 공식 행보에 나섰다. 이에 따라 종단협 회장단은 오후 5시 30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김영문 사회통합비서관에 공식 전달했다.
종단협은 ‘문화체육관광부의 특정종교 선교음악 캐럴 캠페인에 대한 항의서한’을 통해 “국민을 위로하고 따뜻한 사회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취지라고 하지만 이는 오히려 사회갈등을 유발하는 근시안적 행정이며 특정종교의 대표적인 선교음악으로 대변되는 캐럴을 캠페인화하는 일을 정부가 앞장서서 추진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어 “문체부에 캠페인의 즉각적인 중단을 요청했지만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확인함에 따라 청와대에 불교계의 우려와 항의의 뜻을 담아 즉각 중단을 요구한다”며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법률적 대응을 비롯해 2000만 불자들의 거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종단협의 강경 입장은 비단 ‘캐럴 캠페인’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결국 그동안 누적돼 온 종교편향과 불교폄훼 사태들이 이번 캐럴 캠페인을 계기로, “더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문제인식이 조계종을 넘어 범종단적 문제인식으로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종단협은 “국공립합창단의 종교편향 공연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문화재관람료 왜곡 및 사찰비하 발언 등으로 불교계는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받아 왔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 발생한 ‘캐럴 캠페인’ 추진사태는 일련의 종교편향 사건들과 함께 공공기관에서 조직적인 종교편향이 벌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종단협 사무처장 진경 스님도 “오늘 회장단 긴급회의에서 그동안 불교계가 너무 점잖게 대응해 왔기 때문에 종교편향 사안들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의견들이 적지 않았다”며 “이제는 더 이상 좌시하지 말고 범종단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공동대응하기로 결의했고 이를 통해 불교 차원에서 큰 힘을 보여줘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조계종이 ‘종교편향 불교왜곡 범대책위원회’를 출범한데 이어, 종단협이 범종단 차원의 강경대응 행보를 결의함에 따라 종교편향 문제 등에 따른 불교계 대정부 행보는 보다 강도높게 전개될 전망이다.
한편 조계종은 이날 '청와대, 정부, 지자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의 지속적인 종교편향 행위에 강한 유감의 뜻을 밝힙니다' 제하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조계종은 "최근 공공기관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편향과 종교차별 행위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려와 함께 강한유감을 표한다"며 문체부에 '12월엔, 캐럴이 위로가 되었으면 해' 캠페인의 즉각 중단을, 청와대와 정부에는 공공기관의 종교편향, 종교차별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송지희 기자 jh35@hyunbu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