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산불, 취약계층 피해 집중
사회적 약자, 재난에 더 취약해
산불 피해 장애인에게도 관심을
4월은 장애인의 달이다. 장애인에게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달이지만 장애인들이 처한 취약한 사회적 환경에는 관심이 높지 않다.
얼마 전 발생한 영남 지역 산불은 장애인과 노인 등 취약계층에게 사회·경제적으로 더 큰 피해를 주어 빈곤을 가중시킬 수 있다. 재난의 빈곤화는 예상치 못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취약계층에게 더 집중된 큰 피해로 나타난다. 반지하 주택, 저지대나 산림 주변 주택 등은 재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를 입기 쉬우며, 방재 인프라가 미흡한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폭우, 태풍, 산사태, 산불 등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취약계층은 재난 관련 정보와 지원 서비스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대피나 지원 요청이 늦어지고 피해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재난지원 체계가 장애인과 노인 등의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이 지연되거나 부족하게 된다. 이는 장애인이 공공지원 대상에서 소외되거나 행정 절차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2022년 서울 신림동 반지하 주택 침수 사망 사건은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영남 지역 산불 등은 주로 노약자와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심각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왔으며 겉으로 파악되지 않는 장애인들의 빈곤이 가중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애인 입장에서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재난의 빈곤화의 원인과 그 대책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면 피부에 금방 와닿는다. 장애인들은 재난 위기 상황에서 더욱 큰 위험에 노출되고, 재난 이후 생계의 어려움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장애인이 재난상황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되는 원인으로는 장애인들이 주로 생활하는 주택이나 시설의 접근성이 열악하여 재난시 신속히 대피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재난 정보 접근성의 한계는 재난 발생 시 뇌병변장애·청각장애·시각장애·지적장애 등 장애 유형에 따른 정보 접근성 문제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재난경보시스템이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장애인을 위한 재난 대응 매뉴얼이나 맞춤형 지원이 부족하거나 일반적인 재난지원책에서 장애인이 배제되는 사례도 있으며,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임시 보호소 등은 장애인의 재난 이후 생활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장애인 재난 정보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장애인 유형에 맞춘 재난경보 시스템 구축(수어 방송, 음성 안내, 문자메시지 등) 및 제공을 의무화하고, 재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도 장애 특성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
불교계에서는 영남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지원하고 소실된 사찰과 불교문화유산 복구
에 마음을 모으고 있다. 이런 가운데에서도 산불로 재난을 당한 장애인에게 좀 더 세심한 관심을 가져야겠다.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을 먼저 살펴야 하는 것은 단순히 재난 피해를 줄이는 게 아니다. 부처님 법 안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사회적 포용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