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일 비공식 세미나 개최
중국 종교사업, 정책 이행 요구
티베트불교계 반발·비판 이어져
달라이라마 “정치적 이용 불가”
티베트불교에 다방면의 규제를 가하는 중국이 최근 티베트불교 고유의 환생자 제도 개입을 시사하는 세미나를 개최해 논란이다.
중국의 온라인 티베트 뉴스 서비스 ‘중국서장망(中國西藏網)’은 9월 3일 간쑤성 란저우에서 열린 ‘티베트불교 환생자를 공인하는 방식’ 의제의 세미나에 대해 보도했다.
세미나에는 중국 종교 전문가, 정부당국자, 티베트 자치구 불교 지도자 등 50명 이상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옛 티베트 지역인 암도, 캄을 포함해 티베트 자치구, 쓰촨성, 간쑤성 등 티베트불교 영향권 지역 출신들이 대부분이었다.
세미나의 공식 주제는 ‘티베트불교 환생자 제도의 역사적 성립과 정책법규 연찬 토론’이었다. 중국정부가 공인한 티베트불교 출가자 교육·양성 시설 중국고급티베트불교대학이 주최한 이번 세미나의 연설과 토론의 세부 내용은 비공개됐다.
공식적인 세미나 보도자료를 발표한 서장망 측은 “세미나에서는 티베트불교계가 시진핑 사상에 따른 공산당의 종교사업 및 티베트 정책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요구했다”며 “세미나를 계기로 티베트불교의 건강한 전파와 중국 사회주의와 양립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7년 티베트불교 고유의 환생자 제도에 있어 환생한 불교스승은 반드시 중국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법규를 제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처럼 환생자를 찾아내고 공인하는 전반적인 체계에 중국당국이 개입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세미나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자 인도에 소재한 티베트 망명정부와 해외 각국의 티베트 불교계는 즉각 반박에 나섰다. 망명정부 측은 “이런 움직임은 중국 공산당이 티베트불교의 중심인물 달라이라마의 권위에 대한 정통성을 선점하려는 시도로 의심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외신들은 “세미나에서 현 14대 달라이라마가 언급되지 않았으나 이 세미나는 분명히 현 달라이라마와 그의 환생에 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도의 티베트 전문매체 ‘티베탄 리뷰(Tibetan Review)’는 “현 달라이라마는 오래전부터 자신의 세납 90세가 된 후, 즉 내년 7월 6일 이후에 자신의 환생을 수색하고 인정하기 위한 지침을 작성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며 “최근 달라이라마의 무릎수술 등 건강 문제가 이어지자 중국당국이 준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달라이라마는 지난 2011년 성명을 통해 “나의 환생자에 대한 수색과 선정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달라이라마의 공식 사무국인 간댄포당의 관련 임원에게 있을 것”이라고 선언하고 환생자에 대한 명확한 서면 지침을 남기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하여 누구도 정치적 목적을 위해 달라이라마 후보자를 인정하거나 공인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박영빈 객원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