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세계 2위 소금 수입국 대한민국
우리나라는 국토의 3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특별한 시기가 아니면 소금에 있어 그리 큰 곤란을 느끼지 않으면서 살아왔다.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는 참 축복 받은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많은 국가에서는 과거 소금의 생산과 공급을 둘러싸고 수탈, 민란과 혁명이 끊이지 않았다.
소금은 먹지 않고서는 살 수 없는 목숨 줄과 같은 것이었기에 위정자들이 수탈의 한 방편으로 소금 전매제도를 운영해 왔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소금 부족으로 고통을 받았으며 죽음에 이르렀고, 탄압에 맞서 싸우다가 처형되기도 하였다.
지금도 계속되는 아프리카의 사막에서의 소금 대상 행렬, 티베트에서의 마방에 의한 소금 공급 길을 보면 소금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 얼마나 먼 길을 거쳐 어렵게 공급이 되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천일염과 정제염이 소금 생산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방식으로 생산하는 소금이라고 해봐야 연간 50만t 내외로 우리나라가 연간 필요로 하는 소금 300만t의 1/6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 소금은 수입소금이다. 수입된 250만t은 대부분 화학공업용으로 사용되며 일부는 식품공업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 멕시코와 호주에서 수입되며, 중국 등 일부 아시아권에서 일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수입되는 소금은 대부분이 천일염이다. 호주와 멕시코의 드넓은 사막에서 만들어지는 값싼 천일염을 대량 수입해서 화학공업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드넓은 사막은 무한정 내리쬐는 햇빛과 비가 오지 않는 최적의 기후로 인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소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세계적인 가격 경쟁력 품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국이 소금 수입 세계 2위이고, 세계 1위의 소금 수입국은 일본이다. 일본은 연간 800만t 정도의 소금을 수입한다. 국내산은 150만t 정도로 소비량의 15% 정도를 자체 생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국토의 3면이 바다이고 다양한 소금을 만드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가 소금을 그렇게 많이 수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소금이 천일염이었는데 그 천일염이 국제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없애 버리고 있다. 2005년까지는 가지고 있던 염전을 포기하는 소금 사업자에게는 보조금을 지급하면서까지 억지로 없애버리려고 했다. 현재는 태양광 시설이 염전을 차지해 나가고 있다. 드넓은 염전이 태양광 패널로 덥혀 사라지는 현질은 참으로 안타깝다. 심지어는 생산된 천일염은 이물질이 많다는 이유로 2008년까지 광물로 구분하여 식용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도 하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의 소금 산업은 점점 열악해졌고 시설 현대화는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그 틈을 비집고 서구의 고급 소금과 값싼 소금들이 소금 수입자유화의 물결을 타고 우리나라로 밀려들어 왔고, 급기야 9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다. 저급시장은 물론 고급시장 또한 그 자리를 수입소금에 내어주었다.
한국은 소금 수입을 하는 와중에도 소금을 조금씩 수출해왔다. 구운 소금, 죽염 등이 그 예이다. 독특한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질 좋은 소금은 세계 어디에도 통용이 되기 때문이다. 해양오염이 심각해지는 요즈음 깨끗한 해양심층수로 만든 소금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해양심층수 소금은 생산하는 나라가 몇 안 되기 때문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련 생산 설비와 기술을 우리나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술적인 자립도 가능하다. 해양심층수가 가진 청정성과 미네랄 특성을 잘 살린 소금을 대량으로 생산 판매를 한다면 건강 소금으로 세계 시장에 수출할 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의 소금 산업은 이제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넓은 천일염전을 가지고 있고 구운 소금, 죽염 같은 한국만의 독특한 소금 제조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세계시장에서는 아직 초보자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세계 제1의 소금 수입국인 일본이 이웃나라이고, 세계 최대의 인구를 가진 중국시장이 옆에 있다. 중국 소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으므로 우리나라 소금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한 수출은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세계 최대의 소금 시장인 중국 시장은 한국 소금이 진출할 수 있는 최대 시장이고 중국에 없는 심층수 소금을 중심으로 한 수출이 예상된다.
한국 소금이 세계 시장에서 올바르게 대접받기 위해서는 소금의 제조과정과 품질과 미네랄 성분 함량을 분명히 하고 한국 소금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 어떠한 특성과 효능이 있는지를 밝혀나갈 필요가 있다. 높은 품질의 소금에 멋진 제조 이야기를 담아나간다면 승산이 충분이 있다. 한국은 세계 2위 소금 수입국에서 고급소금의 수출국으로 거듭날 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