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25-11-26 13:11 (수)

[사설] 임인년, 종교편향 근절의 해로

새해벽두부터 불자들의 마음이 심란하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종교편향·불교왜곡 사안들이 해를 넘어 우리의 마음을 짓누르고 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불교폄훼 발언과 여러 종교편향·차별 사안들을 처음에는 분노와 서운함으로, 이제는 “더 이상은 참을 수 없다”는 공분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8년 8월 27일 이명박 정권의 도넘은 종교편향 행위를 규탄하기 위한 범불교도대회가 봉행되기까지의 역사가 14년이 지난 지금, 다시 되풀이되고 있는 셈이다. 불교계는 반세기 넘는 세월동안 종교편향·차별의 피해자가 되어 왔다. 공공영역에서의 차별 발언과 차별적인 정책은 물론, 도넘은 훼불사건은 또 얼마나 많았는지 가늠할 수 조차 없다.

언제까지 불교만 인내하고 감내하고 포용해야 하는가. 이제는 우리 사회에 근본적인 의문을 던질 때다. 공직자차별신고센터가 가동되고 법이 개정됐지만, 큰 변화는 없다. 아니 변화는 있었지만 법망을 피해 더욱더 교묘해지고 세밀해졌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하다. 

외부적으로 표출되는 언행과 정책들에 대해 사후약방문 형태로 대응하는 것은 분명한 한계가 있다. 근본적인 변화를 일구기 위해서는 우리사회, 특히 공공영역에 종사하는 공직자와 사회지도층의 종교감수성을 확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제도적인 장치가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공적인 영역에서의 제한은 국민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종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새해 예정된 승려대회와 범불교도대회가 전환점이 돼야 한다. 단순한 불교계의 결집이 아니라, 우리사회가 이를 의식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이끄는 변화의 법석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