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25-11-26 11:37 (수)

다른 사람들에게 자세히 해설해 주고 올바르게 가르쳐 준다면,그 공덕은 지극히 많을 것이다

〈여래장경〉

 교종의 수행법

▲ 그림 박구원
오늘의 말씀을 생략하지 않고서, 그 전부를 다시 읽어보기로 하자. 부처님께서 금강혜보살에게 하시는 말씀이시다.

“금강혜여, 우리 집안의 훌륭한 아들이든(善男子), 딸이든(善女人), 또는 재가의 신자이든 출가의 수행자이든 어떤 사람이라도, 이 ‘여래장의 가르침’을 받아서, 지니고, 읽고, 암송하고, 서사(書寫)하여, 다른 사람들에게도 자세히 해설(講釋)해 주고, 올바르게 가르쳐(說示)준다면, 그 공덕은 지극히 많을 것이다.”

지금 내가 읽고 있는 〈여래장경〉은, 여래장사상 연구의 권위자인 다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 교수가 산스크리트본으로부터 직접 번역한 것이다. 물론 한문 번역본도 있는데, 아마도 앞에서 인용한 이 구절은 “수(受), 지(持), 독, 송, 서사, 위인해설(爲人解說)”이라 되어 있을 것이다.

이 구절은 정형화된 형태로, 거의 모든 대승경전에 다 나타난다. 경전의 말씀을 어떻게 신앙하고,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이라 할 수 있다. 이른바 선종의 수행법이 참선이라 한다면, 교종의 수행법은 이렇게 경전의 가르침을 받아서, 지니고, 읽고, 암송하고, 서사하고, 다른 사람을 위하여 해설해 가는 것이다.

이 여섯가지 수행방법 중에서 시대의 추이에 따라서 다소 달라진 것이 있다면 서사일 뿐이다. 옛날에는 인쇄술이 없었기에 손으로 베껴서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줄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모든 인쇄술이 다 가능하다.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도 서사이고, 핸드폰 문자로 경전의 구절을 전송해도 서사이다.

‘서사’를 개인적인 수행을 위한 ‘사경’으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전후 맥락을 살피면 이타적인 차원으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궁극적으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해설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누가 권진(勸進)인가?

근래 수삼년 동안, 나는 독서회운동을 펼치고 있다. 필자가 소장을 맡고 있는 ‘일본불교사연구소’에서이다. 일본불교에 관한 책을 읽는 독서회를 만들고 운영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 아직까지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지만, 차차 활성화되리라 전망된다.

그 독서회를 만들고 이끄는 ‘독서회의 리더’를 ‘권진’이라 부른다.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이 말이 널리 쓰인 것 같지 않지만, 일본불교에서는 참으로 널리 쓰인 말이다. 우리에게는 불사의 총책임자라는 뜻에서 도감(都監)이라는 말도 있고, 재정적인 권선(勸善)을 하는 화주(化主)라는 말도 있다. 이 두 개념을 하나로 합한 것이 ‘권진’이라 생각하면 될 것같다.

물론 경전에서부터 ‘권진’이라는 말은 나온다. 〈관무량수경〉에서는, “그 마음을 권진한다(勸進其心)”는 말씀도 있고, ‘권진행자(勸進行者)’라는 말도 나온다. 권진행자는 곧 권진이라는 말일 터이다.

우리 독서회에서 권진은 독서회에 참여할 회원들을 모집하고, 회원들에게 책의 내용을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히 강석(講釋)해 주고 설시(說示)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권진을 누가 해야 하는가? 출가한 스님이라야 할 수 있다고? 우리는 지금까지 그렇게만 생각한 것은 아닐까?

그러나 그렇지 않다. 여기 〈여래장경〉에서 부처님은, “재가의 신자이든, 출가수행자이든, 어떤 사람이라도”라고 분명히 말씀하시지 않았던가. 스님은 물론이지만, 재가의 신자들 역시 부처님 말씀을 들었다면, 그 즉시로 뒤로 돌아서 부처님을 등에 업고 다른 사람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해설해 주어야 한다.

그것이 권진이다. 이 〈여래장경〉의 부처님 말씀이 진실이라면, 우리 중에 권진을 하지 않아도 좋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런 면허장은 애당초, 불교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