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등 검색 제휴 매체는
사실상 검색서 차단된 상황
플랫폼이 뉴스 생산자 선택
공론장 다양성 훼손 우려돼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다음이 뉴스 검색 대상 언론을 이른바 ‘콘텐츠 제휴 언론사’(CP)로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한 것과 관련하여 카카오와 언론사 간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다음의 이번 정책 변경으로 CP가 아닌 1000여 곳의 일반 ‘검색 제휴’ 매체의 기사는 포털 다음 이용자로부터 사실상 차단되는 위기에 처했다. 검색 제휴 매체에는 불교계 언론도 포함된다. 

검색 대상 언론을 제한한 다음의 이번 결정이 우려스러운 이유는 이것이 일반 이용자들의 뉴스 이용을 제한하고, 지역언론 및 소규모 전문 매체들의 기사 노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잘못된 정책 방향이기 때문이다. 여론의 다양성에 역행하고 이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함으로써 언론의 공공성의 가치와 이용자의 알권리를 등한시한 지극히 상업적이고 자사 이기적인 사고의 결과물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다음이 해당 언론사들과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공지하였다는 것도 사태의 심각성을 키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소속사를 비롯한 인터넷 뉴스매체 29개 사는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뉴스 검색서비스 차별 중지’ 가처분을 신청함으로써 법적인 분쟁으로 비화할 조짐까지 보여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다음은 ‘이용자 선호도’를 고려하고, ‘양질의 뉴스 소비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이번 변경의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콘텐츠 제휴 언론사의 기사가 전체 언론사 기사보다 높은 검색 소비량을 보였다는 자체 분석 결과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뉴스이용자에 대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뉴스 이용자의 대다수가 개별 언론사의 홈페이지나 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한다. 뉴스 유통업자 포털은 국민으로부터 사실상 언론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심지어 전문 뉴스 생산자인 언론사들을 상회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포털이 뉴스를 단순 판매 상품으로 간주하여 뉴스 유통을 장사 수단이나 상거래 행위로 인식한다면 그로 인한 사회적 폐해는 시간이 갈수록 커져만 갈 것이다. 언론이 사회적 공기이고 뉴스가 공공재인 만큼 뉴스 유통의 핵심 플랫폼인 포털은 뉴스 공급의 기본원칙으로 보편적 서비스를 지향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여기에는 뉴스 생산자인 언론사들을 대등한 파트너로 인식하고 대하는 상생의 마인드도 포함된다. 책임을 회피하고 싶거든 뉴스 유통권 자체를 언론사에 돌려주는 게 상식이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여론의 다양성과 공론장 형성에 기여 해온 다수의 언론 매체를 좌절시킨다는 오명을 쓰지 않도록 다음은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