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집이 운영 논란에 휩싸인 지 1년이 넘어가고 있다. 일부 내부직원들이 제기한 후원금 횡령 의혹으로 나눔의집은 사회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불교계 역시 많은 상처를 입어야 했다. 경찰·검찰 등 수사기관 조사 결과 이사 스님들에게 제기된 횡령 등 의혹은 무혐의로 밝혀졌지만, 나눔의집을 향한 부정적 시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나눔의집 정상화 책무를 지고 가동된 임시이사회에게는 추락한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내부갈등을 봉합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운영체계를 공고히 하는 것이 우선과제로 주어졌다. 그러나 임시이사회는 1년 가까이 제자리걸음을 반복했고 급기야 양분화 되면서 파행에 이르고 있다.

나눔의집은 불교계 원력에 기대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보금자리로 만들어졌다. 위안부 문제를 국내외로 알리고 평화와 인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기능도 수행해 왔다. 운영상의 문제로 물의를 빚었지만, 기본적으로 나눔의집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의 무게는 여전하다. 정상화를 두고 제기되는 갈등은 부차적인 문제다. 나눔의집이 진정으로 정상화 수순을 밟기 위해서는 본연의 역할과 원칙, 역사적 가치에 무게중심을 둬야한다.

이제 나눔의집 일부 내부직원과 운영진 간, 그리고 임시이사회 내부에서의 갈등이 과연 정상화를 위한 본질적인 문제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답은 정해져 있다. 지자체 감사 결과 지적사항들을 개선하면 된다. 경기도와 광주시가 감사를 통해 지적한 사항들이 부차적인 갈등양상 속에 표류해선 안 된다. 관할 지자체에 주어진 관리감독의 책임을 인지한다면 경기도와 광주시는 더 이상 방관자로서 임시이사회 뒤에 숨지 말고, 보다 적극적으로 정상화 방향성을 판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