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화합과혁신위 토론회, 승가공동체 다뤄

매월 한 차례씩 한국불교가 직면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혁신과제를 모색하는 조계종 백년대계본부 화합과혁신위원회가 이번에는 승가공동체 회복 방안을 모색했다. 자원의 공평한 분배, 사찰 내 거주 의무화 등이 과제로 꼽혔다.

화합과혁신위원회 기획위원회는 1016일 서울 전법회관 3층 회의실서 오래된 미래 승가공동체라는 주제로 다섯 번째 라운드 테이블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는 은유와마음연구소 대표 명법 스님을 비롯해 박부영 불교신문 상임논설위원,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조기룡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가 맡았다.

가장 먼저 명법 스님은 승가공동체 회복을 위한 밑그림이라는 발제를 통해 조계종이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체제 도입과 1970년대 이후 한국사회 근대회 등을 거치며 이상적인 승가공동체가 해체됐다고 진단했다.

명법 스님은 “1994년 개혁 이후 강화된 제도에도 불구하고 구성원 관리는커녕 안정적인 수행환경조차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산중불교공동체 전통마저 약화돼 한국불교는 출가자와 신도 감소라는 이중적 문제에 당면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명법 스님은 한국불교의 과제로 소임과 수행의 순환 4인 이상 사찰 의무화 공동체 내 자원 공평 분배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불교에 대한 거부감 중 대부분은 승려의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태도가 유발한다승가공동체 문화 개선은 가장 중요한 혁신 내용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룡 교수는 조계종 승가공동체 파승(破僧)의 원인을 경제적 불평등 선거 문중 종책모임 4가지로 분류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공평 분배 제도의 탈세속화 일불제자의 승단구조 승가교육의 여법화를 꼽았다.

박부영 위원은 빈부격차를 승가공동체 붕괴 주요 원인으로 꼽지만 그보다는 사회, 환경, 문화의 개인화가 가장 큰 요인이라며 이대로 방치하면 종단·교구가 아닌 스님 중심으로 조직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