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趙州) 선사께서 하루는 임제사(臨濟寺)를 방문해 발을 씻는 차에 임제 선사 께서 다가와 물으시길 

“어떤 것이 조사가 서쪽서 오신 뜻 입니까?”라고 하시니, “마침노승이 발을 씻고 있는 중이니라”고 답하였다. 이에 임제 선사께서 가만히 조주 스님께 다가가서 귀를 기우리고 들으시는척 하니, 조주 선사께서 “알면 바로 알 것이지 되세김질 해서 무엇 하려는고”하시니, 임제 선사께서 팔을 흔들며 돌아가셨다. 

제일구(第一句)에서 깨치면 부처님과 조사의 스승이라고 했고, 제이구(第二句)서 터득하면 인천(人天)의 스승이라 하였다. 듣고 바로 깨치면 제일구(第一句)이며, 귀를 귀울여 되새김질하면 제이구(第二句)이다.

임제선사가 하루는 발우를 갖고 탁발 나갔는데, 한 집에 가서 대문을 두드리면서 탁발을 왔다고 하니까, 노보살이 대문을 열고 나오더니 임제 선사를 보고 하는 말이, “염치 없는 중이로고”하고는 시주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임제 선사가 “탁발하러 왔는데 어째서 한 푼도 주지 않고 염치없는 중이라 하는고” 하니 보살이 대문을 왈칵 닫고는 집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이에 머쓱한 임제 선사도 아무 말 없이 돌아갔다.

“임제 노장이 노파에게 허물을 보임으로서 그 노파의 빗장 관(關)의 할에 임제의 귀를 꽉 막아 버리게 하고, 누구나 자성(自性)안에 가득찬 천연무가보주(天然無價寶珠)의 문을 활짝 열어 보여준 것이다.” 이것이 임제 선사를 꼼짝 못하게 한 할망구의 제일구(第一句)이며, 그 유명한 임제탁발화(臨濟托鉢話)이다. 

당나라 때 위산 선사에게 향엄(香嚴)과 앙산(仰山) 두 제자가 아침마다 문안을 드리는데, 하루는 앙산 스님이 문안을 드리자 위산 선사께서 벽을 향해 돌아누우시며 말씀 하시길 “내가 간밤에 꿈을 꾸었는데, 그대가 나를 위해 해몽(解夢)을 해 보게나”고 하시니, 앙산 스님이 즉시 밖에 나가서 세수대야에 물을 떠다가 위산 스님 앞에 놓고 나갔다.

그 다음에 향엄 스님이 문안을 드리자 앙산 스님과 똑같은 말을 하니, 향엄 스님은 즉시 밖에 나가서 정성껏 차(茶)를 달여와 바치니, 위산 선사께서 “나의 두 제자의 신통(神通)이 목련존자(木蓮尊者)를 지나가는 구나”고 하시며 크게 칭찬하셨다.

생사(生死)에서 벗어난 꿈을 깬 진여실상에서는 억지로 꾸미지않는 순수한 평상심(平常心)이 지극(至極)한 도(道)이며, 그 행선(行禪)이 바로 ‘이 뭣고’ 인 것이다.
 

용성선사와 전강선사의 전신구(轉身口)의 법(法)거래이다.

전강: 어떤 것이 제일구입니까?

용성: 영신아!

전강: 예.

용성: 제일구를 일러 마쳤느니라.

전강: 허허(박장대소)

용성: 자네가 전신(轉身)을 못했네.


전강: 전신구를 물으옵소서.

용성: 여하시 전신구인고?

전강: 낙하여고목제비(落霞與孤鶩齊飛)하고 추수공장천일색(秋水共長天一色)입니다.
 

“저녁 노을은 따오기와 더불어 날으고 가을 물은 하늘과 함께 일색입니다.”

하시니, 용성 스님이 아무 말 없이 방장실로 돌아가셨다.


이환즉각(離幻卽覺)이라, 꿈을 여윈 제일구(第一句)에서 진성(眞性)과 하나된 깨달은 경지를 보이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