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12일 복구 현황 및 지진 대책 발표

지난해 경주 지진 발생 직후 통도사에 급파된 문화재청직영사업단이 대웅전을 보수하는 모습.

지난 9월 12일로 경주 지진 발생 1년을 맞았다. 당시 불국사 다보탑 등 불교문화재 뿐만 아니라 첨성대와 같은 국보급 문화재들도 피해를 입었다. 지진 발생 1년이 지난 현재 불교문화재(국가 및 시도지정문화재) 복구율은 8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0곳 피해 중 8곳은 미복구돼
분황사 모전석탑 복구공사 中
염불사지 석탑 등은 안전진단
내진성능 향상 기준 마련 추진


문화재청은 “1년 전 지진 피해를 입었던 문화재 100건(국가 지정 52건,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 48건) 중 86건에 대한 복구를 마쳤다”고 9월 12일 발표했다.

문화재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피해 문화재 중 불교문화재는 40건으로 복구가 완료된 것은 불국사 다보탑 등 32건이다. 아직 복구가 이뤄지지 못한 문화재는 8곳으로, 미복구율은 20%로 조사됐다.

동탑 옥개석 서북쪽 모서리가 파손된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제1429호)은 복구공사 설계 중이며, 지붕기와가 훼손된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과 탑신석이 이격된 경주 남산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188호)은 복구공사 중이다.  

또한 △옥개석이 이탈된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867호) △석탑 상륜부가 파손된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제168호) △상단 탑신부가 박리된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제908호) △탑신석이 이완된 경주 남산 염불사지 삼층석탑(사적 제311호) △불두지지석 균열이 확장된 경주 남산 열암곡 석불좌상(도유형문화재 제113호)은 안전진단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현재 복구를 마무리하지 못한 문화재들에 대해서도 복구를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경주 지진은 지진 안전지대라고 여겨진 한국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음을 국민들에게 알렸고, 잇달은 문화재 피해는 안전관리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

현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진 등 자연 재해에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토록 했으며, 지진 방재기반을 구축하는 전담조직인 안전방재연구실을 올해 1월 신설했다.

실제 건축문화재를 그대로 축소한 모형을 만들어 건축문화재의 각종 보존 분석과 구조안전성 실험을 할 수 있는 ‘건축문화재 안정성 평가 시험연구시설’도 충북 충주시에 오는 11월까지 완공된다.

서울, 경주, 부여 등 5개 역사도시 내 건축문화재에 대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하는 지진위험지도를 오는 2021년까지 구축하고, 목조·석조 등의 유형별 내진성능 향상 기준도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진 등에 취약한 문화재 현황을 파악하고, 문화재의 보수·보강 시 내진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기법들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사찰 문화재, 민속마을 등 재난 취약 지역의 문화재 소유자·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재 재난 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올해에는 민속마을 2개소에 시범 추진했으며, 2019년까지 일반 사찰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문화재 긴급복구 예산도 현재 47억 원에서 60억 원으로 증액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문화재청은 “지진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목조문화재 노후전기시설 교체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지진에 안전한 문화재 환경 구축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