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났든 잘났든 자기를 끌고 다니는 건 자기밖에 없어요

▲ 그림 최주현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솟는다 하더라도
주인공에다가 탁 놓고 웃을 수 있어야 합니다.
진짜로 믿는 사람은 믿는다는 생각도 없이 믿어지거든요.
그러면 우그러졌던 물건이 이렇게 변해서 확 펴듯이
그냥 펴지는 겁니다.
인생을 그렇게 쉽게 살아보세요.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하는 데
문) 부처님께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하셨다는데 그 까닭이 무엇인지요.
답) 여러분이 말하고 움죽거리죠? 만약에 생명의 근본이 없으면 그건 무효입니다. 또 육신이 없어도 무효고, 생각 내는 게 없어도 목석이에요. 이 몸뚱이, 육근, 육진, 육식이 움죽거리는 게 다 우주의 혹성과도 같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된다면 이게 없어도 아니 되고 저게 없어도 아니 되는데, 그것이 종합된 근본이 불성이에요. 그러니까 “부처님 법이 어떠한 것입니까?” 하고 물으니까 “이리 오너라, 가르쳐 줄게.” 이러고는 멱살을 쥐고 발길로 차고선 주먹으로 한방 지르니까 “아이고!” 하고 쓰러지더라는 거죠. “요놈! 지금 ‘아이고!’ 하는 놈이 누구냐?” 하더라는 겁니다. 그래서 생각을 내는 것이 즉, 법이지요. 여러분이 이 정신세계의 50%를 모르고 그냥 물질세계로만 간다면 그것이 망상이지마는, 이 도리를 한데 합쳐서 모든 것을 맡겨 놓고 거기서 들이고 낸다는 것을 실감한다면 바로 그게 법이 되는 겁니다.

법이 돼서 나를 끌고 다니는, 과거에도 끌고 다녔고 지금도 끌고 다니고 미래에도 끌고 다닐 거다. 그런데 과거는 아까 한 시간 전만 하더라도 과거예요. 조금 아까도 과거죠. 그래서 과거는 지나갔으니깐 없고, 아직 오지 않았으니깐 미래는 없을 것이고, 현실은 공해서 돌아가니깐 또 없어요. 그런데 그 없다는 이유가 어데 있을까요?
이 모든 것이 한 발 들고 한 발 놓고 한 발 들고 한 발 놓고, 그저 자나 깨나 맥박이 그저 오르락내리락 오르락내리락 하는 거와 같기 때문에, 어떤 거를 할 때 내가 했다 할 수 없기 때문에 공했다 한 거고 ‘무(無)’ 했던 겁니다. 그러니까 ‘없을 무’ 자가 아니라 ‘있을 무’지요. 왜 내가 이런 말을 하느냐 하면, 그 모든 거를 갖추어 가지고 있어야만이 사람이 사람이라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눈이 하나가 없어도 병신이고 귀가 하나 없어도 병신이에요. 손가락 하나만 없어도 병신이죠. 그러니만큼 모든 것이 종합된 자체에서 그냥 일체 생활하고 들이고 내고 돌아가는 그 자체가 바로 불성입니다. 불성 자체가 돌아가게 하고, 말하게 하고, 행하게 하고…, 이렇게 하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그 불성이, “내 마음이 그렇게 일체를 들이고 내는 걸 어찌 알았으리까.” 이랬지 않습니까. “내 마음이 그대로, 생활 그대로 여여함을 어찌 알았으리까.” 자기가 자기를 모르면 그 도릴 모르거든요.

그러니깐 유마힐 거사가 병을 앓았을 때 병문안을 문수가 갔을 때 얘기죠. “나는 중생들이 다 나아야 내가 병이 낫는다.” 했잖아요. 그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내 몸속에 들어 있는 중생들이 지금 작용을 안 해 주면 이 몸뚱이가 쓰러지죠? 이 속의 중생들이 다 작용을 해서 병이 나아야 내가 병이 낫죠? 안 그렇습니까? 그러니까 모든 게 둘이 아니다 이겁니다.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다 한 것도 그 뜻이에요. 너부터 알아라 한 것도 그 뜻이에요. 사대 성인들도 너부터 믿고 너부터 알라 했듯이. 너한테서 물러서지 말라. 모든 거를 다 놓고 갔을 때에, 어차피 죽을 때는 몸뚱이까지 다 놔야 됩니다. 그런데 마음으로 다 놔야 하나도 버릴 게 없이 됩니다. 나 아님이 하나도 없이.

그렇기 때문에 불성이란…. 왜 이런 게 있죠? 차가 갈 때에 딱 고정되게 있는 거는 있는데 그거는 구르지를 않아요. 바퀴만 구르지. 그와 같은 겁니다. 심봉이란, 인간의 뿌리란 그렇게 돼 있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내놓을 수도 없고 보일 수도 없고 빛깔도 없지만 허공은 허공대로 있듯이 마음도 그렇게 있다 이겁니다. 그러니까 딴 데서 찾지 마세요.

내가 항상 이런 말을 합니다. 아, 길을 가다 엎드러지면 땅을 짚고 일어나지 허공을 허우적거려서 일어날 수 있겠느냐고요. 그 속에서 나온 거, 그래 천백억화신이라고 그러죠? 예를 들어서 병이 났으면 ‘야, 네 몸뚱이 네가 건강하게 해서 끌고 다녀라.’ 그러고 맡겼을 때, 그게 진짜로 믿어야 맡기지 믿지 못하면 맡길 수가 없어요, 또. 거기다 진짜 그렇게 맡겼을 때 약사 의사가 됩니다, 그냥 그 자체 내에서. 가난해서 애달플 때 거기다 맡기면 관세음이 되고 명이 짧아서 아주 애원을 했을 때, 식구 중에 어떠한 문제가 있을 때, 또 거기다가 ‘너밖에 해결할 놈이 없다. 너밖에 이끌어 줄 놈이 없다.’고 맡길 때 그때는 칠성부처가 되죠. 그러니까 좋은 데로 못 간다고 애원하지 말라 이겁니다. 좋은 데로 못 갈 것 같으면 모든 것을 거기다가, 마음의 용광로에다 다 넣고 그렇게 ‘좋은 데로 가는 것도, 가게 하는 것도 너밖에 없어.’ 한다면 그냥 지장이 돼 버립니다. 한 순간에, 한 순간에 바꿔지면서 돌아간다 이겁니다, 화해서.

생활하는 데도 그렇지 않습니까. “형님!” 하면은 그냥 형님으로, 자동적으로 형님 노릇을 하죠? 말도 행도 그렇죠? 그런데 아버지가, 어머니가 “얘, 아무개야!” 불렀을 때 자동적으로 또 자식의 노릇을 합니다. 또는 장가 든 사람은 자동적으로 사위가 되고 남편이 되고 이렇게 돌아갑니다. 부처님의 마음도 그렇게 화해서 돌아간다 이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의 마음과 우리의 마음이 둘이 아니다. 이 물질적인 체는 어저께 게 있고 오늘 게 있지만, 마음이라는 것은 삼천 년 전에 있던 마음이나 지금 현재 있는 마음이나, 많이 모여도 한마음밖엔 안 됩니다. 그런데 그 한마음도 없어요. 체가 없단 말입니다. 그러니깐 마음과 마음이 수없이 한데 합쳐도 하나로 돌아가는 거예요. 그와 같이 하나로 돌아가는 것조차도 없다고 한 뜻이 바로 공해서 화해서 나투면서 돌아가니까 그러는 겁니다.

빗방울이 수없이 쏟아졌어도 그 한 바다에 들어갔다면 한 바다지 빗방울이 따로따로 있는 게 아니죠. 그래서 우리들의 마음은 창살 없는 감옥에다가 자꾸 이렇게, 즉 말하자면 살아나가는 습관으로 인해서 모두 꼼짝하지 못하고 묶여 있지 말고 마음을 탁 틔워라 이겁니다. 마음은 체가 없어서 광대무변하고, 우리가 지금 이 자리에 앉았어도, 집에 갔다 오려도 갔다 올 수 있죠? 또 지구 바깥을 벗어나려도 벗어날 수 있어요. 이 모두가, 마음이라는 게 광대한 겁니다, 아주.

그러니까 불성이 없다 있다 하지도 말고, ‘천상천하에 유아독존’이라고 부처님께서 한 거는, 농사꾼은 농사꾼들 틈에는 농사꾼이 제일 으뜸이죠? 개개인이 다 높아요. 높지 않은 게 하나도 없습니다. 근중하지 않은 게 하나도 없고.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나 아님이 없고, 내 자리 아님이 없고, 내 손 아님이 없고, 내 발 아님이 없어서 ‘평발’ 이랬고, ‘평손’ 이랬습니다. 이 도량도 내 도량 아님이 없다. 내 몸 아님이 없고. 그래서 모든 게 높은 것도 없고 얕은 것도 없고, 모두가 독존이다 이겁니다. 그래서 천상천하에 모두가 독존이다. 모두가 중요하단 얘깁니다, 모두가. 그래서 천상천하에 유아독존이라고 한 것이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불성이 보이지 않는다, 들리지 않는다 해서 없다고 하지 말고, 자기가 진짜로 자고 깨고, 먹고 눕고 일하고 이러는 게 그대로 불성이 있기 때문에 하는 것이지, 불성이 없다면 어떻게 이게 움죽거리겠습니까.

수많은 고통을 지혜롭게 극복하려면…
문) 우리 인생을 살아나가는 데 참 많은 고통들이 있는데 어떻게 하면 그 수많은 고통들을 지혜롭게 극복하면서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답) 우리가 그 모습 하나하나를 볼 때 친밀한 사람들이나 친밀해도 도와줄 수가 없죠. 본래 도와줄 수가 없는 원인이 있죠, 모두가. 먹고 싸고 잠자고 하는 것이 전부 도와줄 수가 없어요. 아프고 죽고 살고 하는 것이 다 도와줄 수가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 세상에 나와서 고통이 많다 그런 거를 어떻게 쉽게 풀고 살 수 있을까. 쉽게 푸는 거는 고통스럽게 만들어 놓은 놈한테 다시 거기에다 놓아야 됩니다. 놓지 않으면 안 풀어져요, 그게.
무슨 10대 20대 조상들로 인해서 유전이 되고 그런 사람들도 아주 많아서 고생들을 하거든요. 그것도 한생각이면 그렇게 되는 거예요. 그렇게 풀어지는 겁니다, 다. 좋게 딴 데 재생이 되고 다들 그렇게 되는 거죠. 그런데 그 생각을 못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솟는다고 하더라도 웃고 거기다가 탁 놓고 웃을 수 있어야 합니다. 진짜로 믿는 사람은 믿는다는 생각도 없이 믿어지거든요. 그러면 그냥 펴지죠. 왜 이렇게 물건이 우그러졌던 것이 이렇게 변해서 펴지죠? 그거와 같은 거니까. 이렇게 쉽게 살 수 있는 인생을 쉽게 살지 못하고 이 고리 안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아니 모습을 바꿀 수가 없고…. 여러분이 그렇게 해서 벗어날 수 있다면 길을 가다 집이 없어도 아, 좀 쉬고 가야겠다 하면 그대로 생각에서 만들어서 집을 짓고 가고, 좀 놀고 가야겠다 하면 정원을 만들어서 놀고 가고. 이렇게 자유스러운 겁니다. 그러니깐 무슨 먹고 산다 이런 것이 하나도 걱정되는 게 없죠.

그리고 사람 사는 데 그 모두 사람 차원에 따라서 모두 사니까, 물이 나빠서 뭐 병이 들린다 이런 거 말입니다. 이런 것이 생기지도 않고, 모든 게 그냥 깨끗하니까. 그리고 에너지를 쓰면 에너지가 그대로 채워지고. 허공에 그냥 에너지니까. 바람으로도 쓸 수 있고 모두가 쓸 수 있으니까. 그러니까 공기가 있어야 산다는 거는 없어요. 내가 거짓 하는 걸로 알지 말고 앞으로 점차적으로 살면서 공부를 열심히, 그거 열심히 하나마나 자기 뿌리가 자기한테 있다는 건 사실이니깐, 자기 불성은 자기한테 있다는 건 사실이니깐 믿고 그렇게 생활을 해 보고 해라 이겁니다. 편리하게 살아라. 겁내지 말아라. 어떤 집에 들어가면 잘살게 된다, 못살게 된다 이런 것도 있죠, 왜? 그러니까 하나하나 고통스럽게 모두 관습을 갖는 거예요.

어떤 집에 가니까 영계가 있어서 그냥 못살게 되고 쫓겨 나간다. 사람이 살아 가지고 왜 죽은 사람한테 쫓겨 나갑니까. 그걸 둘로 보지 않는단 말입니다. 이 공부 하는 사람은 둘로 보지 않기 때문에 자기가 자기 죽이는 법은 없어요. 외려 도와주지. 그래서 흉가집이라도 어떤 사람은 망해서 죽어서 되나가지만 어떤 사람은 들어가서 아주 잘되더라는 얘기예요. 그 생각하기에 달린 거거든. 우리가 쉽게 생각하기에 달렸다고 하지만, 항상 내가 가는 족족 생각하는 대로 남을 해롭게 하지 말고 섭섭하게 하지 말고. 그런 과정을 항상 거쳐야 된다. 그런 과정이 아니면 보살행으로 들어갈 수가 없고 보살행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그런 차원의 길로 들어갈 수가 없다. 즉 부처의 도량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이겁니다. 부처의 도량이라니까 또 어디 막힌 부처의 도량인 줄 알지 마시고요.

결혼과 입산 출가의 공부는 다르겠지요
문) 한 때는 출가해서 공부하고 싶은 마음을 갖고 있었는데 이제 얼마 뒤에 결혼을 하게 되는 불자입니다. 그런데 결혼해서 공부하는 거와 입산 출가 해서 공부하는 것은 많이 다르겠지요?

답) 물론 부처님 당시에도, 부처님 계실 당시에 유마힐 거사가 있었죠. 동등하게 모든 사람들을 이끌어 주기 위해서 한 사람은 유발 거사로서, 또 한 사람은 부처님으로서 이렇게 여러분한테 보여 주셨죠. 그랬는데 유마힐 거사도 스님네들을 가르쳤고 또 부처님께서도 그 제자들을 가르쳤어요. 그러기도 하거니와 우리가 지금 배우는 것은 승려가 되고 안되고 그걸 떠나서 마음공부 하는 겁니다.
그런데 왜 승려가 돼야만 되느냐. 이런 게 한 가지 꼭 있죠. 사람들은 탑을 쌓아 놓을 때에 탑을 쌓고, 보이는 탑을 쌓고 그 탑 봉이 올라가야 탑인 줄 알죠? 그렇듯이 스님네들이 돼서 입산을 해서 공부할 때에 스님네들이 더 지혜를 넓혀갈 수 있다, 이런 거죠. 왜냐하면 복잡한 그 모든 사단이 없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겠죠. 또 한 가지는 모든 사람들이 스님네 모습을 보고 오게 돼 있어요. 아무리 똑같이 성불을 했다 하더라도 스님네 모습을 보고 와서 공부를 하게 돼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입산을 해야 되겠죠.

그러나 공부하는 것은 유발이나 삭발이나 똑같아요. 모든 거 생활 속에서 우리가 공부하는 데에, 모든 생활을 하는 데는 여러분의 영원한 자기 뿌리가 제가끔들 있어요. 이 일체 만물만생에 뿌리가 있어서 그 뿌리는 동등하듯이, 나무가 이름이 다를지언정 뿌리는 다 평등하고 똑같듯이, 우리 개개인이 다 모습은 다르고 여자 남자 다르고, 또 어른 애가 다르고 그렇지만 그 뿌리는 똑같이 평등한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이 자기 뿌리가 자기 싹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되겠죠?
그래서 잎새나 가지나 모두 헤아릴 수 없이 있듯이, 여러분의 몸속에는 헤아릴 수 없이 생명의 모습들, 그 의식들이 천차만별로 있어요. 우리가 저 나무 이파리, 저 향나무를 내려다 볼 때 이파릴 헤아릴 수가 없어요. 그렇듯이 우리네 몸속에는 헤아릴 수 없이 모습과 의식과 생명이 있어요.

그런데 그 생명, 모습, 의식을 다 포함해서 우리가 이 심, 중심 주에다가 한데 합쳐서 우리가 놓을 수 있다면 그게 공부가 제대로 되는 거죠. 거기서 신호가 가서 통신이 간다면 모두가 사대로 통신이 되는 것이, 두뇌로부터 통신이 돼서 사대로 통신이 되는 거죠. 모든 생명체들이 의식과 더불어 같이 작용을 해 주는 거죠.
이 도리를 알려면 이론으로만 알아서도 안 되고, 물론 누구나가 다 몸속에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나무들 이파리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건 알지만 그것과 그것과 동등해요, 방편으로 표현을 하자면. 그러니깐 뿌리가 없으면 나무도 죽고 우리도 영원한 자기 뿌리가 없으면은 이 싹은 무효로 돌아가요. 자기가 자기를 이끌어 간다는 사실을 아셔야 돼요. 과거 자기가 현재 자기를 끌고 간다는 거, 형성을 시켜서 말입니다. 수없는 억겁을 거치면서 형성을 시켜 가지고 어떠한 모습으로 나오든지 이끌어서 이 사람까지 이끌어 왔다는 거.

그러니깐 과거로부터 출생을 시키고 진화해서 이끌어 온 장본인이 참자기의 보배이기도 하고, 참부처기도 하고, 참자기기도 해요. 어머니한테서 아버지한테서 육을 낳는 것은 자기 영혼과 더불어 같이 출생을 시키기 위해서 정자 난자를 빌려서 이 삼합이 한데 합쳐져서 나오는 동시에 어떤 게 나오느냐. 인과, 유전, 영계성, 세균성, 업보성 이 모두가, 다섯 가지가 한데 합쳐서 그 영혼과 더불어 부착이 돼서 이 세상에 출현을 하게 돼 있어요. 그래서 과거는 지나갔으니까 없다는 소리는 뭐냐 하면은 과거 거를 다 짊어지고 나오기 때문이죠. 미래는 가지 않았으니깐 아직 없고요. 그러고도 현실 자체는 공했어요.
여러분이 다 아시다시피, 여러분도 생활해 보시죠? 보는 것도 고정된 게 없고, 듣는 거 말하는 거, 가고 오는 거, 먹는 거 만나는 거 하여간에 고정된 게 없죠. 찰나에 보면 찰나에 또 가고 찰나에 보면 또 가고, 찰나에 들으면 딴 거 듣게 되고 이러죠. 그러니까 공이 색이요 색이 공이니라 했어요. 우리가 똑바로 알고 똑바로 믿어야 하고 똑바로 자기를 찾아야 해요. 자기를 찾는 게 아니라 본래 자기가 있는데 발견하는 거죠.

기도라는 표현을 잘 쓰지 않는 이유
문) 우리가 불자라면 정성스럽게 기도를 하는 것이 아주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선원에서 기도라는 표현을 잘 쓰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요.

답) ‘기도’ 하면 벌써 상대를 두고 기도를 하게 되거든요. ‘부처님!’ 하면 벌써 상대를 두고 하기 때문에 내가 그 소리를 아예 안 하지 않습니까? 내가 부처님을 안 믿어서, 아주 나만 생각하고 부처님은 안 믿어서 그러는 게 아니에요.
여러분을 위해서 전자서부터 그게 누적이 돼 내려 왔고, 습이 돼서 내려왔기 때문에 그 이름을 벌써 불렀다, ‘지장보살!’ 그러면 벌써 이렇게 올려놓곤 부르고, ‘관세음보살!’ 하면 이렇게 벌써 둘로 놓고 보고 아, 이러니 왜 그 노릇을 합니까? 얼른 그저 길을 같이 가고 싶어서 ‘아이고, 부처님!’ 하면은 그냥 둘이 돼요. 그러니까 “내 주인공을 믿어!” 이렇게 한 겁니다. 그러니 그 내 주인공 속에는 역대 다 일체의 부처님이 들어 계시고 중생들이 다 같이 들어 있는 겁니다. 그러니 여러분은 고걸 생각하시고 진짜 믿고 놓으십시오. 그냥 놓고 가는 거니까요.

어떤 사람이 ‘부처님이 어디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까 “이리 오너라.” 하고 부르고는 척 내려가시더니 하는 소리가 멱살을 탁 잡고 “요놈아!” 그러면서 주장자로 어떻게나 몹시 갈겨 댔는지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하니까 “요놈, 아이고 아이고 하는 놈은 누구냐, 요놈!” 아, 이러거든요. 그거를 가만히 생각해 보신다면 우리가 열심히 지극하게 믿는 거. 첫째 놓고, 둘째 아주 믿는 거. 그 믿기 때문에 놓는 거거든요. 첫째 믿지 못하면 놓질 못하는 겁니다. 왜 자기를 믿지 못합니까, 글쎄? 아니, 남의 이름은 믿으라면 잘 믿는데 왜 자기는 못 믿어요? 못났든 잘났든 자기밖에 더 있나요? 누가 대신 죽어 주나, 대신 누가 아파 주나, 대신 자 주나, 먹어 주나, 똥 싸 주나? 아, 이거 큰일이란 말입니다. 자기를 믿으세요. 못났든 잘났든 자기밖에 자기를 끌고 다니는 건 없거든요. 그러니 믿고 그저 놔요. 거기서밖엔 끌고 다닐 수 없다는 거.

생활 속에서 어떠한 괴로운 게 닥치겠죠. ‘아이, 이것도 거기서밖엔 해결 못하겠지.’ 하고 탁 놔 버리세요. 그저 놓는 일밖에는 없어요. 그러고 돌아오는 일을 지켜봐라 이겁니다. 돌아오는 일을 지켜보면 거기서 체험도 얻을 수 있고, 실험도 할 수 있고 그런 거죠. 그래서 자기를 발견하는 겁니다. 그럼으로써 물리가 터지고 지혜를 얻는 거지 어떡합니까, 그거.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