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 승가회 "압수수색 과도…공정한 법집행을"
11월 10일, 전주 수현사서 입장문 발표 "불교 망신주기식 행위 멈추라" 촉구
경찰이 11월 7일 금산사 주지실과 군산 은적사 압수수색한 데 대해 금산사 승가회가 깊은 유감을 표했다.
금산사 부주지 덕림 스님, 총무국장 원묵 스님을 비롯한 금산사 스님들은 11월 10일 전주 수현사 2층 회의실에서 '금산사 승가회 입장문'을 발표했다.
승가회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은적사는 사전에 충분히 조사에 협조했고 금산사도 당시 수사에 적극 협조했으나 경찰은 조사에 비협조할 것이라는 근거없는 예단으로 강압적인 절차를 진행한 것은 너무나 참담한 일"이라며 "이는 교구 본말사 주지스님 및 대중 스님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분개했다.
더구나 "개산 1400년이 넘는 동안 전법의 등불을 밝혀왔던 금산사에 대한 과도하고 무차별적인 법적 조치로 불교와 불자들에 대한 부당한 탄압으로 보여진다는 점에서 유감과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개탄했다.
종단 내부에서도 해당 사안과 관련하여 종헌 종법에 따른 자체 조사를 이미 진행한 상황에서 수사 당국이 강제 수사를 진행한 것은 상식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종교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는 게 금산사 대중의 입장이다.
금산사 승가회는 "경찰 당국은 향후수사 과정에서 종교적 특수성과 국민의 신앙 감정을 깊이 헤아려 보다 신중하고 중립적인 절차로 진행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하며 "다시한번 금산사와 은적사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 깊은 유감의 뜻을 밝히며,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간담회에서 덕림 스님은 “금산사와 은적사 압수수색 당시 1개의 특정 언론사가 취재에 나선 것도 피의사실 공표에 해당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며 “은적사 압수수색당시 경찰과 언론사 기자가 동시에 도착한 사실이 이같은 의구심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산사 승가회 스님들은 "사전조사나 통보없이 교구본사 주지스님을 피의자로 적시하고 압수수색 절차를 진행한 것은 불교에 대한 망신주기는 물론 모욕적인 행위"라고 개탄했다.
다음은 금산사 승가회 입장문 전문
입장문
11월 7일 김제 금산사 주지실과 군산 은적사가 압수수색을 당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군산 은적사는 이미 사전에 충분히 조사에 협조하였고, 금산사는 압수수색당시 필요한 것은 다 가져가도 좋다고 정도로 협조했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조사에 비협조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예단으로 강압적인 절차를 진행한 것입니다. 이는 너무나 참담한 일이며, 교구 본말사 주지스님및 대중 스님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산사가 당국의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려 하였음에도 강압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은 개산 1400년이 넘는 동안 전법의 등불을 밝혀왔던 금산사에 대한 과도하고 무차별적인 법적 조치입니다. 이는 불교와 불자들에 대한 부당한 탄압으로 보여진다는 점에서 유감과 우려를 금할 수 없습니다.
아울러 대한불교조계종 내부에서도 이 사안과 관련하여 종헌 종법에 따른 자체 조사를 이미 진행하였으며, 현재 종단 내부의 자정 절차가 법과 원칙에 따라 진행 중입니다.
수사 당국이 이런 내용을 파악하고 있으던서도 강제 수사 진행한 것은 상식에 어긋날뿐만 아니라 종교의 존엄성을훼손하는 것으로, 민주 사회의 법집행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경찰 당국은향후수사 과정에서 종교적 특수성과 국민의 신앙 감정을 깊이 헤아려 보다 신중하고 중립적인 절차로 진행해 주실 것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다시한번 금산사와 은적사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 깊은 유감의 뜻을 밝히며,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불기 2569(2025)년 11월 9일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 승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