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종교 통계의 두 얼굴

2025-09-26     김내영 기자

10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가 시행된다. 이번 조사에는 10년 만에 ‘종교인구조사’가 포함돼, 각 종교계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불교를 비롯한 각 종교계는 이미 전국 사찰과 교회, 교당 단위로 신도 현황을 점검하고 조사 참여를 독려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카드뉴스, 유튜브, SNS, 공문 발송 등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해 신도들에게 응답을 권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해외 사례를 보면 조금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일부 국가에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종교를 묻는 자체가 종교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국가 차원의 종교인구조사를 시행하지 않는다. 대신 민간 전문조사기관이 표본조사를 통해 종교 분포를 추정하고, 관련 학자와 연구자들이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즉, 국가가 강제적으로 종교를 묻는 것이 아닌 표본 기반 연구로 사회적 민감성을 낮추고 개인의 종교 선택권을 존중하는 방식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198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종교인구조사를 포함한 후 10년 단위로 4차례 조사가 이뤄졌다. 종교인구조사는 자연스럽게 ‘각 종교계의 성적표’라는 꼬리표가 붙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올해 조사 결과도 중앙·지방 정부의 중장기 정책,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 자료, 민간기업의 시장 조사 등 각종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조사 결과에 대한 언론 보도와 각 종교계의 경쟁적 분석과 비교 등으로 한바탕 논란이 일어날 것이 분명하다.

조사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 가구 대표 한 명이 가족을 대표해 응답할 수 있도록 해 구성원의 종교가 서로 다를 경우 응답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신도 수와 조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다종교사회다. 오랜 세월 각 종교가 쌓아 온 상호 배려와 신뢰가 이번 조사에 반영되려면 숫자 경쟁을 넘어 개인의 종교 선택권을 존중하고, 정확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조사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