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주택총조사 앞두고 불교계 역량 ‘결집’
10월 22일~11월 18일, 종교인구조사 포함 향후 10년 종교지형 지표…정책·예산 영향 10년 전 불자 300만명 ‘급감’ 대응책 마련 종단협, 전국 사찰 대상 신도수 현황 점검 조계종도 SNS·공문 등 통해 조사 참여 독려
10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진행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에 10년 만에 ‘종교인구조사’가 포함되면서 불교계가 범종단적 대응에 나섰다. 이번 조사는 향후 10년간 한국 사회 종교지형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가 되는 만큼, 불교계는 적극 참여를 독려하며 정확한 불자 현황을 반영하기 위해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삶과 사회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가구 중 20%를 표본으로 선정해 시행하는 국가 지정 통계 조사다. 5년마다 실시되며, 종교인구 조사는 10년 주기로 이뤄진다. 불교는 ‘인구주택총조사가’ 시행된 1985년부터 신도 수 1위를 지켜왔지만 2015년 조사에서 개신교(19.7%)에 밀려 2위(15.5%)를 기록했다.
불교 신도 수는 1995년에 1015만4000명, 2005년 1072만6000명에서 2015년 761만9000명으로 300만명 이상 급감했다. 반면 기독교는 1995년 876만명, 2005년엔 861만6000명에서 2015년에 967만명으로 106만명이 증가했다.
당시 불자 급감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조사 방식이 불교계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조사에서 표본을 대상으로 인터넷·면접조사가 병행됐는데, 불교는 인터넷 응답이 특히 적고 면접 응답이 많아 평균값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또 가구원 한 명이 가족 전체의 종교를 대표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인해, 가족 간 종교가 불일치할 경우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지적됐다.
통계 결과에 종교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조사 수치가 정부 정책과 예산 배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종교인구조사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입안과 중장기 계획 수립은 물론, 대학·연구소·기업의 연구 및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10년 만에 재조사 시기가 다가오자 각 종교계도 발 빠르게 대응 중이다.
한국교회언론회(대표 임다윗 목사)는 8월 25일 논평을 통해 “이번 조사는 국가의 다양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는 만큼 기독교인들이 적극 동참해 교계에도 의미 있는 통계가 형성되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10년마다 시행되는 종교 인구 조사가 포함돼 있어 향후 종교 정책과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국가 정책은 물론 교회의 선교와 전도 전략에도 유효하게 쓰일 수 있도록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원불교도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원불교 문패 달기’ ‘가정기원 독경하기’ 등 신도 참여 캠페인을 전개하고, 교도들의 주소를 정확히 입력하도록 원티스(WonTIS, 원불교 정보전산화 시스템)를 점검해 표본조사 지역 공시 시 신속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 7월에는 인구주택총조사 대응팀을 발족해 매주 ‘챙김통신’(카드뉴스·유튜브 숏츠)과 ‘챙김 챌린지’로 교도들과 소통하고 있다.
불교계는 대응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하고 있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회장 진우 스님, 조계종 총무원장)는 올해 7월 이사회를 열어 인구주택총조사를 앞두고 전국 사찰을 대상으로 신도수 현황 점검을 주문하고, 표본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 당시 종단협 회장 진우 스님은 “불자들이 자신의 종교를 밝히는 데 소극적인 측면이 있다”며 “총조사를 앞두고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범종단적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우 스님은 9월 10일 열린 제235회 중앙종회 임시회에서도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는 한국 사회의 미래 정책 방향을 결정짓는 중대한 국가 조사”라며 “종교 지형을 가늠하는 공식 지표인 만큼 불교계 인구와 사회적 위상이 정확히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 스님은 “불교의 전법·포교·교육 정책이 더욱 실효성 있게 수립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준비를 이어가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조계종은 이미 종단 차원의 TF팀을 구성해 부서별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종단 홈페이지에 참여 안내 팝업창을 띄우고 전국 사찰에 공문을 발송해 조사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포교부에서도 인스타그램·유튜브 등 SNS를 활용해 “매주 정기법회에 참석하지 못해도, 아직 재적 사찰이 없어도 부처님 가르침을 실천하고 불교를 사랑하면 우리 모두 불교 신자다. 당당하게 불자임을 알려달라”라는 메시지를 담은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하며 적극적인 응답을 요청하고 있다.
조계종은 조사 기간 종료까지 전국적 홍보와 참여 독려를 지속하고, 이번 총조사가 불교의 사회적 위상 회복과 미래 포교 전략 수립의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김내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