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주노동자 죽음, 자비로 응답해야
2025-08-15 현불뉴스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우리 사회에서 일하던 이주노동자 7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름 대신 국적과 사고 원인만 남은 이 비극은 우리 사회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낸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위원장 지몽 스님)는 8월 12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이주노동자의 죽음은 내국인 노동자의 죽음과 비교해도 너무나 차별적인 현실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하청·재하청 구조 속에서 생계를 이어 가는 이주노동자들의 존엄은 죽음 앞에서조차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노위는 그간 이주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열악한 환경에 처한 이주노동자에 대한 긴급조치를 요청하고, 산재 사망 사건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또 이 땅에서 일하다 숨진 이주노동자의 넋을 위로하는 49재를 봉행하는 등 실질적인 연대 활동을 펼쳐왔다. ‘모든 존재의 평등한 존엄’을 실천하는 귀한 발걸음이다.
그러나 종교계의 노력만으로는 근본적인 변화를 끌어낼 수 없다. 이재명 정부는 최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선언했지만, 이주노동자를 값싼 ‘노동력’으로만 보는 시각이 사라지지 않는 한 악몽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모든 노동자가 안전과 존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불자로서 마땅히 감당해야 할 보살행이다. 사노위의 호소처럼 산업재해 없는 일터,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불자 모두가 자비심으로 응답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