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종, 대선 정책 제안 “국가유산 정책, 유형 비율 살펴야”

이재명·김문수 후보 측에 각각 전달 실버스테이, 영산재 지원 등 제안해 “국가유산 특정유형 예산, 인사 편중 ​​​​​​​특성 반영 비례 배분하는 정책 필요”

2025-05-26     신중일 기자
태고종 총무원이 발표한 ‘2025 국민을 위한 정책 자료집’

태고종 총무원(원장 상진 스님)이 불교문화 보존과 전통문화 진흥을 골자로 한 정책 자료집을 발표했다. 특히 태고종은 국가유산 유형별 예산, 조직 구성의 편중성을 지적하며 비례성의 원칙을 명문화할 것을 처음으로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태고종 총무원은 5월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측에 ‘2025 국민을 위한 정책 자료집’을 각각 전달하고, 불교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태고종은 지난 5월 15일 ‘총무원장 직속 정책기획단 위촉식’을 열고 8명의 위원에게 위촉장을 전달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2025 국민을 위한 정책 자료집’은 정책기획단의 논의를 통해 마련돼 제안된 것이다.

정책 자료집에는 △사찰 중심 실버스테이 시범사업 추진 △납골당 규제 완화 △종교문화시설 건립 예산지원 확대 △불교문화유산 보존 지원 활성화 △공공기관 종교편향 방지 △영산재 국내외 초청공연 정례화 및 예산 확보 △종교문화행사 지원 강화 △국가유산 유형별 인사·예산·조직 비례성 원칙 규정 등의 정책들이 담겼다.

특히, 태고종은 ‘국가유산 유형별 인사·예산·조직 비례성 원칙 규정’을 통해 특정 유형 종목에서 이뤄지는 인사·예산·조직 구성의 편중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을 요구했다.

태고종은 “‘국가유산법’ 등 관련 법령에 국가유산 유형별 비율과 특성을 반영해 인사와 예산, 조직을 배분하는 ‘비례성 원칙’을 명문화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모든 유형의 국가유산이 균형 있게 보호·관리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태고종이 제안한 ‘실버스테이 시범사업’은 노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사회에서 사찰 기반 노인복지 모델이다. 태고종은 “사찰은 전통적으로 고령자의 심신 안정을 위한 명상, 기도, 쉼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왔다”면서 “사찰 실버스테이는 웰에이징과 웰다잉을 결합한 새로운 복지모델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납골당 규제 완화를 통해 현재 5000기로 제한된 사찰 납골당에 대한 규제를 폐지·완화해 국민들의 장례문화 선택권을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태고종은 “납골당 규제 제한은 사찰이 수행하는 신행 및 국민의 종교문화적 수요를 반영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면서 “고령화 삼화와 다양한 장례문화 수요 증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또한 태고종이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유산인 영산재의 해외공연과 전승관 건립 등 보존 관련 지원 확대도 요구했다.

태고종은 “1973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영산재는 한국불교 의례의 문화적 가치를 국가 차원에서 인정한 첫 사례지만, 국가무형유산 지정 후 정부 지원은 다른 불교 의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영산재 가치 확산과 지속적인 전승을 위해 ‘태고무형유산센터’ 건립이 이뤄져야 하며, 해외 초청 공연의 정례화를 통해 국내외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선보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중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