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 제4회 학술대회] 안환기 서울불교대학원대 교수
유식 자성신과 한마음 비교분석
???????법신 의미서 공통분모 갖음 발표

안환기 서울불교대학원대 교수는 유식학의 자성신과 대행선사상의 한마음을 법신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두고 살펴봤다.

안환기 서울불교대학원대 교수는 11월 21일 대행선연구원이 한마음선원 안양본원서 개최한 제 4회 학술대회서 ‘유식사상과 대행선 –자성신과 한마음을 중심으로’의 주제 발표를 통해 유식학의 자성신과 대행선사상의 ‘한마음’을 법신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두고 살펴봤다.

안 교수는 “‘자성신’과 ‘한마음’은 유식학과 대행선사상에서 궁극의 경지이자 존재 기반이 되는 개념”이라며 “모두 수행을 통해 증득하는 경지로 보고 있으며, 그 기원과 형성 배경은 다르지만 공관(空觀)에 입각해 궁극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안 교수는 다양한 유식학의 3신 사이 관계 설명 방식에서 <유식삼십송>과 <성유식론>서 나타난 3신의 의미를 살펴봤다.

안 교수는 “<성유식론>은 3신 중 수용신을 자수용신과 타수용신으로 구분해 해석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전의를 통해 구경위에서 마음(識)이 지(智)로 변화는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안 교수는 “대행선사상은 마음의 본바탕인 불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한마음’ ‘주인공’ ‘자성불’ 등이 그 예인데, 이는 ‘법신’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용신’ ‘변화신’ 양상이 나타난다. <성유식론>처럼 이부분에 자세히 논의하지 않고 수행과정 또한 자세하게 단계별로 제시하지 않지만 큰 틀에서 볼 때 유식학 수행 5위와 대행선의 아공, 법공, 구공 관점은 서로 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인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안 교수는 “유식학은 수행을 통해 마음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대행선사상은 일상생활에서 수행을 어떻게 시작하며 주의할 사항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데 그 특징이 있다”며 “두 사상의 간극을 수용하며 비교분석하는 작업은 거칠어 보이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정성준 위덕대 교수는 마음과 몸이 함께 진행되는 수행, 그리고 그 수행이 세상과 우주의 변화로 이어지는 과정이 다름이 아닌 부분에서 밀교가 말하는 수행의 지점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중생구제 시대응답, 밀교와 대행선사상 공통점”
[대행선 제4회 학술대회] 정성준 위덕대 교수

인도 후기 실용 불교 맥락과
대행선 실천의 현실적용 평가

정성준 위덕대 교수는 ‘대행선과 총지선의 성립배경 고찰 -<무장삼장선요>를 중심으로’의 주제 발표에서 대행선사상과 밀교사상의 교감에 대해 분석 발표했다.

밀교는 7세기 방대한 교학을 정비하고 실용적 수행을 지향하는 가운데 전개됐다. 이중 <선요>는 8세기 전후 인도의 총지선, 즉 밀교선에 대한 간략한 수행절차를 밝힌 책이다. 불교사 중 밀교가 남긴 실용불교, 현실불교의 관점이 많이 담겨있는 경전이다.

먼저 정 교수는 “<선요>에서는 보살이 했던 수행대로 심식 경계를 차단하고 기다림이 마음의 본면목을 얻는 것의 전부가 아니란 점에 주목했다. 여기에 마음 분석과 통찰력을 넓혀 공성을 밝히는 총지선을 제시했다”며 이번 발표의 비교대상이 된 <선요>의 개념을 설명했다.

정 교수는 “대행 선사께서는 마음과 몸,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과 우주에 대한 수행이 다름이 아님을 항상 강조했다. 이는 밀교에서 말하는 지점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교수는 “대행 선사에 의해 주창된 한마음사상은 생활불교와 세계불교를 모토로 전통적인 선법이나 불교의 궤에 치우치지 않고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춰 많은 재가자와 납자를 지혜로 이끌었다. 중생구제란 현실적 요청에서 밀교와 한마음사상의 깊은 동질성을 다시 한번 엿볼 수 있다. 한마음사상에서 타성에 빠진 형식화된 의궤와 습속을 거부한 재창조를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끝으로 정 교수는 “한마음사상서 제기된 실용주의 수증론의 내면을 보면 화엄, 법화, 정토, 선 등 모든 불학 이론과 수행을 섭렵하며, 밀교의 현실적인 수행과 실천 부분에서 근본정신은 맞닿아 있다. 다만 대행 선사는 밀교에서 보이는 형식과 습관화를 경계했다. 이것만으로도 그 평가가 소홀히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