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 제4회 학술대회] 이병욱 고려대 교수
법화 불성사상, 대행 전법행 근간
???????보살행 실천은 시대포교로 전개돼

이병욱 고려대 교수는 법화사상과 대행 선사의 전법교화행이 맞닿아 있음을 역설했다. 

“대행 스님의 전법교화행은 <법화경>에서 말하는 수희공덕의 실현이다.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불성사상을 현 시대에 전법교화행으로 전개한 대행선 사상은 법화사상과 맞닿아있다.”

이병욱 고려대 교수는 11월 21일 한마음선원 대행선연구원이 개최한 제4회 학술대회서 ‘<법화경>에서 바라본 대행 선사상’을 통해 <법화경>의 법화사상과 대행 선사상의 접점에 대해 발표했다.

이 교수는 대행선사상과 법화사상의 접점에 대해 “법화경에서 모든 사람이 미래 부처가 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처럼 모든 사람을 공경하는 행위는 보살행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해 대행 선사상에서는 오공 의식을 제시하는데 이는 나와 만물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고, 대행 스님은 이것을 기초로 중생과 함께하는 보살행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 지점에서 대행 선사상과 법화사상은 서로 통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교수는 “대행 선사상에서는 불성에는 남녀의 차이가 없다고 하는데 이는 여인성불을 말하는 것이며 이것은 <법화경>의 여인성불과도 관련이 있는 것”이라며 “하지만 대행 선사상에서는 불성을 ‘주인공’ ‘한마음’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더 나아가 자성, 본래면목, 여래장, 진여, 참나로도 부르고 있다. 이 점에서 <법화경>과 대행선 사상의 차이점을 읽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특히 전법교화행에서 대행선사상이 법화사상이 강조하는 널리 전하는 공덕이 맞닿고 있음을 예로 들었다.

이 교수는 “<법사품>과 <수희공덕품>에서는 불교를 널리 전하고 그 것의 공덕을 말하고 있는데 이에 상응해 대행 스님은 시대 상황에 맞춰 다양한 전법교화행을 전개했다. 선법가 포교와 합창단 창단, 영탑공원 설립, 현대불교신문 창간 등이 그 것”이라며 “시대 변화에 맞춰 불교를 달리 전하려는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 교수는 유심정토관 개념으로 한마음정토관이 이뤄져 있음을 주장했다.

“‘지금 여기’ 바꾸는 실천이 한마음 정토관”

[대행선 제4회 학술대회] 조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 교수

대행선사 인생체험 유심정토관 전개

타력구원 바라지 않는 주체사상 핵심

조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 교수는 ‘정토사상의 본질과 대행 스님의 정토관’ 발표에서 대행스님의 정토관이 유심정토관이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유심정토관은 타방정토에 대한 왕생을 칭찬하거나 선도하지 않고, 지금 있는 현실 세계에서 이상적 자아와 사회를 구현해야 한다는 정토관이다.

조 교수는 “선사의 삶은 보통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극한 상황을 여러 해 동안 체험했다. 이것은 역으로 현실을 직시하고 삶과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가능케 했을 것”이라며 “이 인생체험과 선도리가 바탕이 돼 스님만의 독특한 사회관으로 유심정토관이 전개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또한 “이러한 선사의 유심정토관은 지극히 현실적이고 실제적이다. 이 유심정토관은 한마음의 ‘지금 여기’의 당처(當處)정토를 설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조 교수는 대행 선사와 오대산 가풍의 영향과 차별성도 제시했다. 조 교수는 “오대산 승가를 중심으로 강조된 청규인 승가오칙에서 염불은 강조되지만 대행 선사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한마음을 떠나 외부를 향한 타력 구원을 내세우지 않는 점은 철저한 선종의 유심정토관”이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러한 대행 선사의 정토관을 ‘한마음 정토관’으로 칭하며 “선사는 기계적인 칭명 염불을 통해 구원을 바라는 것을 보지 않았다. 한마음은 주인공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철저한 주체사상으로 결국 주인공 자리정토라고도 할 수 있다”고 정의했다.

끝으로 조 교수는 “현재 시대는 교단 충성의 애종심은 약해지고 불교의 가치를 지키는 공동체성보다 각자도생으로 가고 있다. 한마음선원은 선사의 유심정토관을 바탕으로 강력한 한마음 공동체성의 수행정토로 오공정토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