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화합과혁신위, ‘한국불교 2040’ 좌담회

적극적 사회 참여·이타행 필요
생태·생명불교로 전환 이뤄야
‘종교 자유’아닌 공공성 강화
한국불교 ‘공동의 선’ 헌신을

조계종 백년대계본부 산하 화합과혁신위원회는 11월 17일 서울 종로 전법회관 보리수실에서 ‘한국불교 2040’을 주제로 기획 좌담을 개최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한국불교가 직면한 현실과 과제를 짚어보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조계종 백년대계본부 산하 화합과혁신위원회는 1117일 서울 종로 전법회관 보리수실에서 한국불교 2040’을 주제로 기획 좌담을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은유와 마음연구소 대표 명법 스님과 박재현 신대승네트워크 소장, 조기룡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좌담회 참석자들은 사회적·제도적 고통을 해결에 불교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명법 스님은 코로나19 창궐과 함께 신자유주의 체제 하에서 사회구성원 모두가 성과 주체로 내몰리며 무한 경쟁에 뛰어들게 됐다면서 현대 종교는 그들의 문제의 본질을 은폐하고 세력 확장을 통해 개인이 겪는 불만이나 사회적 문제들을 치환하고 유예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시대 불교는 단순하고 소박한 삶이 주는 평화와 기쁨을 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스님은 성과주체로 내몰린 현대인들에게 내려놓음의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내려놓고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시실을 체험함으로써 다람쥐 쳇바퀴 도는 삶에서 벗어나 자신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재현 소장은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적, 사회적 문제는 불교가 전통적으로 관심을 기울여 온 개인의 고통을 훨씬 넘어섰음을 강조하며, 이는 불교에게도 큰 도전으로 직면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박 소장은 은둔적이고 개인적인 불교 수행이나 축원과 기도, 제례로는 현재의 고()를 해결할 수 없다현재 위기에 대처하려면 우리의 관계 맺는 방식을 재구성해야 한다. 이것은 사회적 고통에 집단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도적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교의 적극적 사회 참여와 이타행을 주문했다. 박 소장은 소외 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돌봄과 나눔, 사회 안전망 구축 활동, 코로나 블랙 등에 다한 심리적 방역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불교의 가르침 중 사회적 생태적 활동에 참여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기룡 교수는 '종교의 공공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코로나19로 사찰 재정난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서도 종교들이 돌봄과 생명 같은 윤리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일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의 핵심은 공공성내지 공동의 선의 실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한 조 교수는 불교는 모두의 번영과 안전이 보장되는 사회질서를 수립하는 일에 앞장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정길 위원장은 현재의 위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환경위기와 평화문제, 인권문제 등에 불교가 획기적인 선언을 하고 이를 선도적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