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길을 따라 걷는 고행의 발은 인욕의 상징이다. 중생의 아픔에 함께 우는 순례단은 자비의 상징이다. 상월선원 만행결사 자비순례가 10월 27일 서울 봉은사에서 21일간의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장장 511km에 달하는 이 길 위에서 순례단은 어떤 것들을 느꼈을까. 함께 웃고 울며 지낸 21일동안 순례단은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도반이자 국난극복의 첨병이 됐다.

위례 상월선원 천막결사 당시 석달 간 화두 정진했던 9명 스님은 불교 수행의 새로운 면모를 확인시켰다.

이어 진행된 태화산 순례는 대중 순례와 행선의 가능성을 확인한 자리였다. 지난 10월 7일 입재한 만행결사에서 순례단은 매일 30km를 걷고 밤에는 노숙과 다름없는 텐트에서 잠을 자며 씻지도 못하는 고행을 자임했다. 길위에서 중생의 안락을 위해 정진했던 부처님과 그 제자들처럼 순례단은 불교중흥과 국난극복을 위해서만 매진했다.

이러한 불제자들의 정진이 있었기에 현재의 불교가 있고, 부처님 가르침이 전해져 인류의 행복을 이끌 수 있었다.

순례단은 이제 코로나 종식을 위한 삼보사찰 순례와 인도에서 부처님께서 걸으신 길을 따라 걷는 순례를 기획하고 있다. 

한국불교가 처한 위기,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처님 당시의 방법을 쓸 수는 없다. 하지만 부처님께서 당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보이신 그 숭고한 모습을 따를 때 조금은 우리 사회 문제들의 해법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다. 

부처님의 발자취를 따르는 상월선원 만행결사의 길에 함께 할 것을 발원하며 21세기 불교 중흥의 새바람이 일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