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재硏 발굴 성과 공개
금동귀면 등 20여 점 발굴돼
“황용사 위상 알게 해줄 유물”

불교문화재연구소가 경주 황용사에서 발굴한 금동제 유물 20여 점. 투조 금동귀면, 금동 사자상 등 다양하다.

경주 동대봉산에 위치한 황용사의 당시 위상을 알게 해줄 금동유물들이 대량 출토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1022일 경주 황용사에서 황용사지 발굴 조사 성과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

경주 황용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하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경주 황용사지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시굴·발굴조사가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중심사역 서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로 조사 결과, 투조 금동귀면과 더불어 금동보당 당간·기단, 금동불상 대의편,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 다량 출토됐다.

특히, 지난 조사 이후 2점이 추가로 확인된 투조 금동귀면은 기존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르다.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부는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다. 이번 황용사지서 처음 확인되었는데,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이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보당과 비교하면 리움미술관 소장품이 73.8인것에 비해 황용사 출토 금동보당은 잔존해 있는 당간부와 지주부만 110로 대형이며, 시기도 황용사 당간이 앞선다.

금동불상 대의편은 직경 30가 넘으며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사자상은 2점이 출토됐다. 크기는 약 17정도이고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 용장사 출토 유물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됐다는 게 불교문화재연구소의 설명이다.

이 같은 금동제 유물들은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 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을 보여준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경주 황용사지가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됐다. 이는 고고학적 쾌거라며 지금까지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013년부터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비지정)폐사지를 대상으로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