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 대유행 조짐
두 번의 확산 중심에 ‘교회’ 있어
개신교계 ‘비대면 예배’도 거부해

코로나 재난, 종교 역할 상기시켜
종교·이데올로기 쌍생아적 관계
잘못된 믿음의 노예, 공공적 재앙

‘정교분리’ 는 계몽·근대화 산물
정치 주체 공공선 유도 종교역할
불교, ‘깨달음 사회화’ 고민 해야

이를 어쩌랴. 코로나 재난이 잠잠해지는가 했더니 다시 기승이다. 새로운 시작이라고 하니 그 끝이 아득하게 느껴진다. 이런 코로나 재난의 확산에 종교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코로나19의 1차 확산지인 대구·경북 지역은 신천지 교회가 전파의 온상이었고, 이번 수도권 지역 확산은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사랑제일교회가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랑제일교회는 정부가 가짜 통계로 방역 실패의 책임을 교회에 전가하고 종교를 탄압하고 방역 독재를 한다고 비난하면서 국무총리 등 방역 당국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한다. 부산기독교총연합회는 ‘비대면 예배’를 종교 탄압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번 코로나 재난은 종교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특히 종교의 ‘믿음’ 문제와 ‘정치와 종교의 관계’이다. 인간의 삶의 모습은 다양한 믿음의 구조 속에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믿음 체계는 개인과 사회 공동체에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종교와 이데올로기의 쌍생아적 관계는 믿음의 강제와 믿음의 마술에 있다. 잘못된 믿음의 덫에 걸릴 때 사람들은 종교와 이데올로기의 노예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믿음은 사적인 영역을 넘어 공적인 영역으로 확대되어 엄청난 재앙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믿음에 대한 성찰적 자세가 반드시 요구된다. 

그런데 믿음은 신화적인 성격이 강해 자신의 믿음과 자기 종교집단의 신앙 체계를 성찰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 믿음의 마술에서 벗어난 종교가 있다. 바로 불교이다. 기독교가 절대주의적 입장에 서 있다면 불교는 상대주의적 입장에 서 있다. 불교 교리의 핵심은 연기론으로 상대성의 원리 위에 불교의 사상과 실천의 체계를 구축한다. 불교의 믿음 체계는 ‘주체적 믿음’으로 깨달음으로 가는 나침판의 역할을 하며 수행을 통해 얻어지고 확인된다. 그만큼 주체적 믿음은 자기 성찰적이다.

다음으로 종교와 정치의 관계다. 전광훈 목사의 행적은 여느 정치인 못지않게 정치적이었다. 정당을 만들기도 했고, 장로 대통령을 만든다고 앞장 선 사람이다. 정교분리의 개념은 계몽과 근대화의 과정에서 나온 선언적인 성격이 강하다. 현실에서 종교와 정치의 분리는 하나의 구두선에 지나지 않는다. 문제는 종교와 정치의 바람직한 관계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여기에 종교의 정치철학적 과제의 중요성이 등장한다. 즉 정치현상과 정치권력을 윤리 도덕적으로 평가하고, 바람직한 정치규범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치체제와 정치 구성원이 공동선을 추구하게 하여 행복한 정치생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화중생(下化衆生)이다. 
 

방영준 성신여대 명예교수

그러나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한국사회에 있어 갈등의 큰 씨앗은 이데올로기와 종교이다. 그리고 그 둘의 모습은 너무 닮았다. 정치적 이념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종교는 상실하였고, 오히려 종교가 이념의 역기능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 재난은 종교의 존재 양식에 엄청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코로나 전후의 종교 존재 양식은 근원적으로 달라진다는 것이 종교학자들의 지배적인 견해다. 그리고 종래의 믿음 위주의 종교 기능도 약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연기론적 틀에서 보면 당연한 변화다. 1990년대 이후 ‘깨달음의 사회화’라는 용어가 불교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붓다의 가르침은 ‘지금, 여기서’ 살아 숨 쉬는 것이어야 한다. 코로나 재난의 흙탕물 늪에서 어떻게 연꽃을 피울 것인가?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