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원효대사의 가르침을 계승해 생활불교를 주창하며 중생교화와 호국불교를 종지로 활동해온 법화종이 과거의 위상에 역행하고 있다. 올 1월 前 총무원장 도성 스님이 배임수재죄로 법정 구속되면서 불교계 안팎에 적지 않은 충격을 전한데 이어, 7개월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종단 정상화는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법화종 내홍이 외부로 드러난 계기는 총본산인 통영 안정사 주지 임명으로 인한 논란 때문이다. 총무원장 서리 진우 스님 체제의 총무원 집행부는 前 총무원장이자 안정사 주지였던 도성 스님의 구속 이후 공석인 주지직에 A스님을 임명했지만, A스님이 과거 강간치상과 폭행 등으로 집행유예를 받았고 다른 전과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혼란이 야기됐다. 총무원 측이 “사실과 다르다”며 범죄경력증명서를 공개했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증명서의 발급용도에 따라 모든 범죄사실이 기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A스님이 안정사 주지 임명 이틀 뒤에 종단에 2억원을 입금했다는 정황까지 나오면서 사태는 점점 더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이다. 이를 두고 총무원과 중앙종회 간 대립도 심각하다. 중앙종회가 총무원장 서리 진우 스님을 불신임하고 배임수재로 검찰고발한데 이어, 총무원 역시 종앙종회 의원 5명에 대한 징계를 내리는 등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종단 정상화의 시작은 원칙과 투명성이다. 종헌종법에 근거해 모든 임직원의 자격을 검증하고 前 총무원장 때부터 현재까지의 회계 일체를 공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드러난다면 바로 잡고 책임을 물으면 될 일이다. 법화종의 미래를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종단이 창종 이래 최악의 위기 상황임을 직시하고 변화의 물결에 힘을 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