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7월 8일 브리핑서 최조발원지 밝혀
‘방문판매모임 관련 집단감염’으로 명칭 변경
여론 뭇매맞은 불교계, “철저한 조사 아쉬워”

불교계 첫 감염사례이자 코로나 재확산의 계기로 지목됐던 ‘광륵사 관련 감염사태’가 애초 광륵사가 아닌 방문판매 모임이 발원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은 7월 8일 브리핑에서 ‘광륵사 관련 집단 감염’을 ‘방문판매 모임 관련 집단감염’으로 분류명칭을 변경했다. 이는 최근 역학조사 결과 광륵사 관련 첫 확진자가 사찰 방문이 아닌 6월 중순 방문판매업체 관련 모임으로 인해 감염됐다는 사실이 확인된데 따른 것이다. 이에 광주광역시(시장 이용섭)도 공식 프리핑을 통해 “광주 코로나19 재확산의 최초 감염원을 ‘금양오피스텔’로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광륵사 발 집단감염’ 등 용어로 지역사회 감염의 근거지로 오인되는 등 여론의 뭇매를 맞아 온 불교계는 방역당국의 대처와 관련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은 이와 관련 안내문을 발송하고 “비록 광륵사가 개인이 운영하는 사찰이기는 하나 그동안 광륵사발 지역사회 감염으로 방역당국이 발표하고, 이를 언론에서 보도함으로써 마치 사찰이 지역사회 감염의 근거지였다는 식으로 인식돼 왔다”며 “충분한 역학조사를 토대로 국민들에게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브리핑을 진행했어야 하나, 그러지 못한 방역당국에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라고 우회적으로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무엇보다 조계종을 비롯한 불교계가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부처님오신날 행사까지 축소, 연기하는 등 방역당국의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는 등 모범적으로 대응해 왔기 때문이다. 조계종측은 “지난 7월 3일 ‘코로나19 확산방지와 대응을 위한 지침’을 재차 전국사찰에 시달한 상황”이라며 “일선 사찰은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특히 최근 확인되고 있는 방문판매업체와 관련된 외부 사람들을 비롯해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외부인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해달라”고 강조했다.

광주불교계도 이번 방역당국의 조치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는 한편, 더 적극적으로 감염예방에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주불교연합회장 동현 스님은 공지문자를 통해 “광륵사가 최초 발원장소로 지목되면서 지역 불교계의 우려는 물론, 오랜기간 확산방지를 위해 헌신하신 사부대중의 마음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 이제라도 정정이 되어 다행스럽다”며 “최초발원지가 명확히 드러나고 공식명칭이 변경된 만큼 각 언론사에서도 ‘코로나 광주불교 오명’을 벗을 수 있도록 유념해 달라”고 요청했다.

광주불교계는 특히 코로나사태가 시작된 2월 중순부터 4개월 넘는 기간 동안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최선의 노력을 다해 왔다는 점에서, 철저한 역학조사에 앞서 '광륵사 관련 집단감염'으로 확정한 방역당국의 조치에 아쉬운 목소리가 적지 않다. 법회 취소는 물론, 봉축행사를 축소하고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하는 등 모범적으로 대응해 왔음에도, 최근 ‘광주 광륵사발 코로나19’라는 뜻하지 않는 사건으로 지역사회의 따가운 눈총과 타 지역 불교계의 항의를 받는 등 고초를 겪어야 했기 때문이다.

다만 광주불교연합회 관계자는 “어려운 국난의 시대"라며 "단순한 질병을 넘어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파괴하고, 생명의 존엄성을 위협하는 무서운 질병의 시대를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를 통해 지혜롭게 극복하기를 기원한다”고 당부했다.

송지희 기자 jh35@hyunbul.com
양행선 광주전남지사장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