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6월 25일 공고
봉황사 대웅전 보물 지정
고운사 연수전 보물 예고

국보 제332호로 승격된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보물 제410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이 국보 제322호로 승격됐다. 안동 봉황사 대웅전은 보물로 지정됐으며, 의성 고운사 연수전은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보물 제410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을 국보 제322호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1안동 봉황사 대웅전을 보물 제2068호로 지정했다625일 밝혔다. 또한, 경북 영양에 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0의성 고운사 연수전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국보 제332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이하 수마노탑)이 있는 정암사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받아 귀국한 후, 643(선덕여왕 12)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정암사에는 수마노탑을 바라보는 자리에 적멸보궁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통도사, 오대산 중대, 법흥사, 봉정암의 적멸보궁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보물 제2068호로 지정된 안동 봉황사 대웅전.

수마노탑은 전체 높이가 9m에 달하며,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1층 탑신에 감실(龕室)을 상징하는 문비가 있고, 그 위로 정교하게 다듬은 모전(模塼) 석재를 포개어 쌓았으며, 옥개석의 낙수면과 층급받침 단 수를 층별로 일정하게 쌓았다. 수마노탑은 국보 제30호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등 신라시대 이래 모전석탑에서 시작된 조형적인 안정감과 균형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문화재청은 수마노탑은 기단에서 상륜부까지 완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는 모전석탑으로, 석회암 지대라는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고회암(苦灰巖)으로 제작됐고, 쇠퇴한 산천의 기운을 북돋운다는 산천비보(山川裨補) 사상과 사리신앙을 배경으로 높은 암벽 위에 조성된 특수한 석탑이라며 모전석탑으로 조성된 진신사리 봉안탑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해 국보로 승격될 역사·예술·학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보물 제2068호 안동 봉황사 대웅전(이하 대웅전)은 건립 시기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지만 사찰 내 각종 편액과 불상 대좌의 묵서 등을 종합하면 17세기 후반 무렵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은 삼존불을 봉안한 정면 5칸의 대형 불전이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조선후기의 3칸 불전에 맞배집이 유행하던 것에 비하여 돋보이는 형식이다. 또한, 전면의 배흘림이 강한 기둥은 조선 후기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양식이다.

보물로 지정예고된 의성 고운사 연수전.

이와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의성 고운사 연수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0)’은 고운사의 사찰 중심 공간에 인접해 자리하고 있다.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의 기로소(耆老所) 입소를 기념하여, 1904년에 세운 기로소 원당이다. 고운사 내에 있던 영조의 기로소 봉안각의 전례를 따라 세워진 대한제국기의 황실 기념 건축물이다.

작지만 황실 건축의 격에 어울리는 격식과 기법, 장식을 가지고 있는 수준 높은 건축물이며, 그 기능과 건축 형식의 면에서 다른 예를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사례라고 문화재청은 평가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의성 고운사 연수전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기간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