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신라문화유산硏 석조여래좌상사지서 확인

일제강점기 당시 확인된
석조좌상 머리로 추정돼
개금 흔적도 나와 ‘눈길’
불두·좌상 복원 추진 계획

경주시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발굴조사 중 발견한 통일신라시대 불두. 인근 머리없는 석조여래좌상의 머리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당시 경주 남산 약수곡서 발견된 머리 없는 석조여래좌상의 불두로 추정되는 불상의 머리 조각이 발견됐다.

경주시(시장 주낙영)()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방용)경주 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4사지에서 통일신라시대 석불좌상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의 머리(佛頭)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경주 남산의 불적>에 소개돼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본래 있던 위치(미확인)에서 옮겨진 상태로 반듯하게 놓여 있었고, 그 옆에 불상의 중대석과 상대석이 불안정한 상태로 노출돼 있었다. 불상의 하대석도 원위치에서 움직여 동남쪽 위에 있는 큰 바위 아래에 바로 놓여 있다.

이번 발굴조사는 경주 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경역에 방치된 석불좌상을 보수 정비하기 위한 전 단계로, 석조여래좌상의 원위치를 확인하고 주변을 정비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발굴조사를 통해 발견된 불두는 큰 바위 서쪽, 즉 하대석 서쪽 옆의 땅속에 묻힌 상태였다. 머리는 땅속을 향하고 얼굴은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였으며, 안면 오른쪽 일부와 오른쪽 귀 일부에서는 금박이 관찰됐다.

미간 사이의 백호를 장식했던 둥근 수정은 떨어진 채 불두 인근에서 같이 발견돼 눈길을 끈다. 불두 주변에서는 소형 청동탑, 소형 탄생불상 등도 함께 출토됐다.

이에 대해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백호 장식 수정이 발견되면서 통일신라시대 석조불상의 원형을 고증하는데 있어 중요한 학술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머리가 유실된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후기 작품으로, 경주 석굴암 본존불상과 같이 항마촉지인 도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석불좌상의 대좌는 상당수가 팔각형으로 조성된 것에 비해 이 불상의 대좌는 방형(사각형)으로 조각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방형대좌는 최근 경주 이거사지 출토품으로 알려진 청와대 안 녹지원 석불좌상과도 동일한 형식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발행된 '경주 남산의 불적'에도 소개된 석조여래좌상. 불두가 없는 안타까운 상황이었지만 이번 정비 발굴조사를 통해 불상의 머리로 추정되는 불두가 확인됐다.

이번 조사구역에서는 시기를 달리하는 두 개의 건물터 층이 위아래로 겹쳐진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위층에서는 고려시대 기와가 출토되었으며, 북쪽에 자리한 마애대불과 같은 시기의 것이다.

석불좌상과 동시대 층인 아래층에서는 통일신라시대 평기와가 주로 출토되며, 여러 점의 연화보상화문수막새와 암막새도 함께 확인됐다. 아울러 주변에서는 통일신라시대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공석 등도 함께 발굴됐다.

이번 발굴에 대해 연구원 측은 발견된 불두에 대해서는 통일신라 석조불상·마애불상의 개금(改金,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과 채색 여부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추가 조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경주시는 이번에 찾은 불두와 석불좌상을 복원하고, 주변도 정비하기로 했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한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 현곡면에 소재한 연구원 보존처리실에서 63일 석불좌상 불두 등 출토유물을 언론에 공개했으며, 610일부터는 일반인에게도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