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콕 중 활용할 수 있는?
불교문화·명상 콘텐츠 부족 확인
잠재력 있으나 대중화 구심점 無

韓 불교학, 상아탑에 갇혀 안주 중
옥스퍼드대 AI ‘불교 이러닝’ 보급
동경대 불경 전산화로 디지털 주도

보존 가치 문화재·학문 범주 탈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 접목 필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은 불교계에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자제를 통해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 상황에서 손쉽게 불교문화를 체험하고 불교명상을 도와줄 수 있는 도구들이 부족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사회는 초연결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사회 구성원 누구나 휴대폰은 통해 즉시적이고 즉각적으로 연결되어 혼자서도 서로 접촉하지 않고 다양한 일을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사실상 불교의 문화와 명상은 이러한 분야에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불교학과 불교문화 및 멀티미디어를 하나로 묶어 인문·사회·과학 융복합을 이루어내서 새로운 시대의 미래가치를 선점하고 한국불교를 세계화하며 불교를 대중화할 수 있는 구심점이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불교를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불교미술과 문화제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고, 불교미술과 문화재를 전공하는 사람들은 불교의 명상과 사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부족하다. 또한 양자 모두가 현대사회의 혁신적 흐름을 주도하는 멀티미디어를 인문·사회·과학에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멀티미디어를 통해 불교학과 불교문화가 3D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그리고 입체음향과 결합하여 디지털 콘텐츠로 거듭난다면 어떨까? 아마도 불교학은 첨단화 되고 불교명상은 산업화 되며 불교문화는 보편화되어 우리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장을 미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나라의 불교학이 인문학의 상아탑에 안주하는 사이에 세계 유수의 대학과 연구소들은 불교와 불교문화를 다양한 분야에 결합하고 있다. 일본 동경대는 불교경전 전산화를 통해 디지털인문학(Digital Humanity)을 주도하고 있고 영국 옥스퍼드대 불교학센터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불교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을 보급하고 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비블리오테카 폴리글로타(Biblioteca Polyglotta) 연구소는 불교의 고문헌들을 전 세계의 모든 언어로 입력하고 있고 미국 하버드대의 켐렙(CAMlab)은 3D 스캔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디지털로 영구보존하는 기술을 불교학과 불교미술에 접목하고 있다. 

사실상 유튜브는 다양한 힐링과 명상을 보조해주는 영상들과 불교학과 불교문화를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쉽게 설명하는 영상들로 가득하고, 구글맵은 세계문화아틀라스로서 세계 각 지역의 다양한 정보와 생생한 사진들을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하여 산사를 집에서 체험하고 불교의 복잡한 개념들을 쉽게 이해하며 컴퓨터 그래픽과 음향효과를 통해 우리의 상상력을 극대화하여 효과적으로 명상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시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대하는 모범적인 사례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의학과 과학의 우수성이 전 세계에 알려졌다. 이보다 더 큰 소득이 있다면 그것은 한국인들이 이번 사태를 통해 전 세계에서 높아진 우리의 위상을 자각하게 되었고 스스로에 대한 자긍심이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제 이렇게 높아진 자긍심을 가지고 세계적 수준에 있는 우리의 멀티미디어 기술을 뛰어난 한국의 불교문화에 접목할 때가 되었다. 이제 불교학은 학문으로서의 불교와 보존에만 그치는 불교문화라는 과거의 틀을 과감하게 뛰어넘고 불교와 불교문화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초연결시대 멀티미디어에 기반한 불교·문화크리에이터들이 활약하는 한국불교의 아름다운 미래를 상상해 본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