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사회복지재단, 불교사회복지포럼 개최

현재 3만 명이 넘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해 불교계가 국내 정착 지원체계를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학계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

조계종사회복지재단(대표이사 원행)129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국제회의장서 북한이탈주민 관련 활동에서 불교계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불교사회복지포럼을 개최했다. 발제는 조성희 순천향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맡았으며, 정은미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 박현숙 강원남부하나센터장, 김응철 중앙승가대 교수가 토론에 나섰다.

조성희 교수는 먼저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불교계 활동을 짚었다. 조 교수에 따르면 불교계는 하나센터 5, 종합사회복지관 2, 케어센터 1, 북한이탈주민 쉼터 1, 기타 단체 3개 등 총 12개의 기관·단체가 북한이탈주민 관련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조 교수는 북한이탈주민의 70%가 여성이다. 이 점을 고려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이들은 대부분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한다.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해 관계 욕구를 해소할 수 있도록 사찰 중심의 자조집단과 지지모임을 운영하는 게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청소년·노인·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교계가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사업을 전개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전망 확보에 힘써줄 것을 강조했다. 조 교수는 경제적 자립능력이 취약한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북한과 중국 등 가족과 떨어져 산다는 점에서 지원이 절실하다비공식적인 사회적 지지망을 통해 지속적인 장학금 지원과 의료서비스 제공 등으로 통일시대 가교역할을 불교계가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응철 교수는 이 같은 발제에 공감하면서도 현재 불교계의 역량을 짚으면서 범종단적인 지원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탈북과정에서 이미 많은 주민들이 이웃종교의 지원을 받기 때문에 하나원 입소 후에도 이들 종교단체와 지속적 관계를 맺는다. 이런 구조적인 환경 때문에 불교계가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없는 여건이 있다또한 이와는 별개로 정착지원 프로그램 등 각종 사업을 위한 사찰의 참여, 사찰신도들의 모집에 어려움이 많다. 불교계의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김 교수는 향후 북한이탈주민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면서 통일 이후를 대비한 포교정책 마련을 위해 불교계가 적극적인 지원활동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는 범종단적 지원체계 구축 각 지역 대표사찰을 북한이탈주민 긴급 지원센터로 지정 스님과 불자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계층별 특성 고려한 전문상담 및 불교체험 센터 개소 공공지원센터와 유대관계 통한 활용법 모색 등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불교계는 북한이탈주민 전담 조직이 없기 때문에 여러 문제를 종책에 반영하거나 불자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조차 전개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게 현실이라며 불교계가 독자적으로 모든 서비스를 할 순 없다. 불교계가 할 수 있는 장점과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고려해 상호 보완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통일부에 따르면 최근 20년간 매년 1000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이 정착하고 있다. 2009년이 29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7년에는 1127명이 입국했다. 2017년에는 여성이 83.3%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았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