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 사상 심층적 연구서

논서 순정리론·구사론 등 분석
경량부 사상들 주제별로 살펴
검사 출신 변호사 번역 ‘눈길’

역사적으로 불교는 초기불교, 아비달마불교 또는 부파불교 시대를 거쳐 대승불교로 전개됐다. 하지만 한국불교에서는 아비달마 연구 전통이 없고, 도리어 소승불교로 낮췄다. 그러나 설일체유부의 유론(有論)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대승의 공론(空論)은 성립될 수 없는 만큼 아비달마 불교를 배제한 불교학은 결함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발간된 〈경량부 연구〉는 아비달마 연구의 중요한 지침서이다. 카토 쥰쇼 나고야 대학 철학과 교수의 연구서를 완역한 〈경량부 연구〉는 1989년 발간 당시에 동료 학자들로부터 “사계(斯界)의 제1인자에 의한 현시점에서의 집대성”이라는 평가를 받은 책이다.

이 책은 아비달마불교에서 대승불교로의 발전 과정 중 중요한 가교역할을 담당한 경량부의 역사와 사상을 대표적 아비달마 논서인 〈순정리론〉과 〈구사론〉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한 책이다.

〈경량부 연구〉는 2개의 장으로 나눠져 있다. ‘제1장 경량부의 역사’에서는 경량부와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인물·책·전설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경량부의 역사를 구성하고 있다.

‘제2장 경량부의 사상’은 아비달마 불교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촉처(觸處)·극미·낙수(樂受)·심(心)의 구조 등 12개의 주제들에 대한 경량부의 독특한 사상들을 설일체유부의 사상과 상호 비교해 정리했다. 특히 경량부의 논사 슈릴라타의 사상을 〈순정리론〉·〈구사론〉과 주석서들, 기타의 논서를 이용해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경량부’는 서기 4세기 중반 무렵에 활약한 슈릴라타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용된 명칭이며, 이는 특정 부파를 지칭하는 이름이 아니라 ‘유부의 3세실유설에 반대하는 자’, ‘도리에 부합한 자’, ‘멋있는 자’라는 비유적 의미를 가진 것임을 설명한다. 또한 후에는 ‘현재유체(現在有體)·과미무체(過未無體)’설을 토대로 여러 주장을 펼치는 논사들이 각자 자신들의 주장에 붙인 명칭에 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역설하고 있다.

역자의 이력도 눈길이 간다. 〈경량부 연구〉의 번역자 김재현 변호사는 1986년부터 검사로 재직하며 2008년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장을 마지막으로 퇴임했다. 공직 퇴임 후에는 동국대 대학원에 진학해 불교교학을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김 변호사는 “책을 통해 경량부의 사상뿐만 아니라 설일체유부의 사상까지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량부 연구〉는 아비달마 불교의 주요 쟁점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