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불교 논의 소식에 정부·민간 관심

전일본불교회, 한국불교에 제안
“1018위 사찰에 보관 안타까워”
양국 불교계 논의 대표단 구성

한국정부 논의 요청에 답 않는
日정부 향한 의구심도 제기돼
“책임소재 떠넘기기 가능성도”

한국과 일본 양국 불교계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 논의를 시작할 예정인 가운데, 이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각계 의견이 제기된다.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회장 원행)는 지난 5월 전일본불교회로부터 ()민간 징용자 유골 봉환에 관하여라는 공문을 받았다. 전일본불교회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쥰이치로 총리의 정상회담을 통해 추진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이 최근까지 부진한 것에 안타까움을 표하고, 양국 불교계 주도로 유골봉환을 추진하자는 입장을 전했다.

전일본불교회는 “2005년 일본 정부로부터 반환을 전제로 한 유골조사, 정보 제공 협력요청을 받았다. 이후 7만여 사찰 협력을 받아 조사가 이뤄졌다면서 조사가 시작된 후로 14년 이상 유골봉환을 위해 노력했지만 안타깝게도 유골이 조국으로 돌아가는 것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측에 따르면 유해에 대한 실지조사는 237회 이뤄졌으며, 한반도 출신으로만 판명된 유골부터 성명과 출신지 등 상세한 사항까지 판명된 유골까지 총 1018위가 일본 사찰에 보관돼 있다.

이에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는 6월 제39차 한일불교대회에서 일한불교교류협의회, 전일본불교회와 회의를 거쳐 각국 대표단을 구성키로 했다. 이후 한국 측에서는 조계종과 관음종, 삼론종, 원효종 수장을 대표단으로 확정했다. 현재 일본 측은 오는 가을에 첫 회의를 하자고 밝힌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와 앞서 유해봉환을 추진해온 민간단체들은 양국 불교계의 논의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무엇보다 그간 한국정부가 유해봉환에 대한 논의를 일본정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했지만 일본 측이 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구심을 낳고 있다. 이로 인해 유족들에 대한 배상 판결 등 소송에 휘말릴 것을 우려한 일본이 불교를 통해 한국으로 최대한 빨리 유해를 넘기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무연고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유해봉환을 추진해온 민간단체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위원회윤승길 사무총장은 충분히 가능성 있다면서 실무적·법적인 문제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불교계가 정부·민간단체와 함께 유해봉환을 다뤄야 한다고 견해를 피력했다.

윤 사무총장은 무엇보다 유족들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태평양강제징용유족회 등의 입장을 확인해야 할 것 같다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를 국내로 들여오는 것이 일본의 의도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대화 창구는 유지하되 조금 더 국가적인 사안으로 중요하게 다뤘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정부 측도 별반 다르지 않다.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강제동원희생자유해봉환과 관계자는 현재 한일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불교계가 유해봉환을 논의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다만 책임소재를 불교가 아닌 국가가 질 수 있도록 해야 문제가 없다국내 정서상 일본의 사과 없이 유해를 가져올 순 없다. 우선 한국불교계가 이 사안을 정부차원서 다뤄야 한다는 입장을 일본에 전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유해봉환과 관련해 이처럼 일본불교계가 적극적인 협력 의사를 피력하는 상황에서 한국불교계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앞으로 세간의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