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학술대회] 오지연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

‘법화경’ 내 제법실상 등 가르침
대행선사 ‘한마음’으로 달리 불려

'법화천태교관과 대행선사의 관법'을 주제로 발제하는 오지연 연구원.

천태와 대행은 그 시대적 배경이나 사명이 전혀 달랐다. 천태는 남북조불교를 통합 회통해야 하는 시대적 소명을 띠고 있었으므로, 불교의 교문과 관문에 대한 해석이 방대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대행은 근현대 전환기의 한국사회를 겪었고, 그의 시대는 산업화와 정보화시대까지 걸쳐져 있다.”

오지연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은 615일 한마음선원 안양본원서 열린 제3회 대행선학술대회에서 법화천태 교관과 대행선사의 관법을 주제로 이 같이 발표했다. 그는 <법화경>과 이에 의거해 형성된 천태 교관의 관점에서 대행선사의 교화와 행법을 살폈다.

오 연구원은 우선 <법화경> ‘방편품에 설해진 제법실상과 일대사인연과 같은 특정적 교설과 대행선사의 전법교화 상통점부터 조명했다. 부처님의 깨달음이 여러 경전마다 연기·중도·진여·여래장·법성으로 설명되는 가운데 법화경에서 강조하는 제법실상을 오 연구원은 주목했다.

그는 대행선사 법문 중에서 실상에 대한 내용을 추려 대행선사가 강조하는 한마음이 결국 실상의 다른 표현임을 설명했다. 오 연구원은 대행은 모든 존재의 이치를 불성이라 한다. 그것은 진리이며, 일체의 근본이며, 오직 하나이며, 전체이므로 이라고 하고, 그 진리는 또한 일체중생의 마음과 둘이 아니므로 마음이란 말을 붙여 한마음이라고 한다면서 중생이 본연의 근본자리로 돌아가면 그대로 일체 제불의 모습, 성품, 바탕 등의 부처 살림살이가 나타나므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마음이며, 이것 역시 제법실상의 다른 표현이라고 주장했다.

오 연구원은 이어 대행 스님의 주인공관법이 천태의 원돈지관과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원돈지관의 사종삼매(四種三昧)인 상좌(常坐상행(常行반행반좌(半行半坐비행비좌(非行非坐) 가운데 대행 스님의 관법이 비행비좌삼매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대행 스님이 설한 굳은 신심을 지닌 수행자라면 마음공부에 단계라는 것은 없다. 평등한 진리이기 때문에 계단이 없다는 행법에서 찾았다.

오 연구원은 평등한 진리는 원()이며, 단계가 없음은 돈()이다. 한마음이라는 큰 원리는 원이며, ‘몰락행함은 돈이다. 대행선사는 대부분의 법문 가운데서 몰락 행할 것을 강조했다주인공에 맡김과 놓음 등의 행법은 ()’이고, 지켜봄과 관함 등은 ()’에 해당한다. 결국 대행선관법이 원돈지관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대행은 경전은 말할 것도 없고 화두나 불보살의 명호마저도 의지함이 없이 오직 주인공에 맡기고 놓고 관하는 길만을 제시했다그것이 처음에는 막막하더라도 궁극에는 그 길뿐임을 강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 연구원은 끝으로 대행 스님의 이 같은 관법은 현대사회에 불교를 알기 쉽게 전하고, 수행법도 간단명료하게 정리해 누구나 현실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 위한 것으로 평가했다.

오 연구원은 대행은 관법을 가르침에 그치지 않고 돌려쓰는 것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 완벽히 비운 자리에서 무궁무진한 쓰임이 나옴까지도 체험하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말씀이라며 이것은 개시오입(開示悟入)불지견에서 개시오에 그쳐서는 안 되고, 마지막 입불지견도(入佛知見道)’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말이다. 여기에 대행의 크나큰 스승으로서의 면모가 드러난다고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재현 동명대 교수가 '한국 근대 선불교의 개혁 노선과 깨침의 사회화'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대행 스님 생애, 한국불교 개혁 방점
[대행선학술대회] 박재현 동명대 교수

만해·한암 스님의 근대불교 개혁
대행 스님 전법활동도 정신 같아

만해 스님과 한암 스님이 근대시기 한국불교가 모색했던 개혁방향을 대표적으로 제시했다면, 대행 스님은 현대와 미래의 한국불교 개혁을 위한 하나의 몸짓이었다고 볼 수 있다.”

박재현 동명대 교수는 한국 근대 선불교의 개혁 노선과 깨침의 사회화라는 주제로 근대 한국불교의 선지식인 만해 스님과 한암 스님의 불교개혁 방향을 정리하고, 대행 스님의 생애도 불교를 개혁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다르지 않음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먼저 만해 스님과 한암 스님이 제시한 선불교 개혁방안의 차이점을 짚었다. 그는 만해 스님은 근대의식과 선에 입각한 자유주의 노선을 선택했다. 자유와 평등을 핵심가치로 하는 근대의식과 행동주체의 자발성을 중시하는 선 의식이 만해 안에서 서로 만나고 있었다만해는 선을 통해 이념 너머의 인간 존재의 본래적 자유를 바라보고자 했다. 이러한 태도는 근대적이거나 탈근대적인 면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암 스님에 대해서는 의례의 체계화와 사판적 역량강화를 통한 한국불교의 자강 노선을 선택했다. 선 근본주의와 민족주의 경향을 강하게 보인 만공과 달리, 사판적이고 행정적인 관점에서 승가 공동체의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길을 택했다면서 한암 스님은 본래성불의 원리적 절대성을 애써 옹호하지 않았고 사교입선에 목매지도 않았다. 그는 계행과 독경, 의례는 물론이고 사찰운영 전반에 현실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전폭적으로 수용해 나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대행 스님이 1980년대부터 기존의 한국불교와 다른 방식으로 법을 펼치고, 포교활동을 전개한 것이 만해·한암 스님의 활동처럼 한국불교의 근본적인 변화를 꾀한 것으로 정리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