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학술대회] 정준영 서울불교대학원대 교수

초기경전과 대행선사 법문 통해
정학수행 공통·차이점 비교연구

'붓다와 대행선사의 정학수행 비교연구'를 주제로 발제하는 정준영 교수.

붓다와 대행선사의 정학은 상호 유사점과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대행선사의 가르침은 선종의 특성과는 다르게 초기불교의 삼학수행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실천방법에 있어서도 궤를 함께하고 있다. 다만 용어의 사용에 있어 차이점이 있으며, 심봉(心捧)의 등장과 함께 불성과 주인공을 핵심으로 다루는 차이점을 보였다.”

정준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는 615일 한마음선원 안양본원서 열린 제3회 대행선학술대회 첫 발제자로 나서 붓다와 대행선사의 정학(定學)수행 비교연구를 주제로 이 같이 발표했다. 그는 초기경전과 대행선사의 법문을 담은 <허공을 걷는 길>을 비교했다.

정 교수는 먼저 붓다와 대행선사 모두 삼학의 실천수행으로 정학수행을 강조했다는 점을 짚었다. 붓다가 팔정도 안에서 계정혜 삼학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하면서 혜학을 핵심으로 삼학을 귀결했다면, 대행선사의 삼학은 정학 핵심으로 귀결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정 교수는 대행선사는 삼학의 핵심이 정심에 있음을 강조한다. 확철대오 돈오법을 주장하는 서종의 풍토에 삼학을 닦는 점수법의 형태가 설명된다는 점은, 삼학이 대행선과 초기불교 수행을 연결하는 고리가 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대행선사는 정심뿐만 아니라 오분법신향을 통해 정향을 강조한다. 계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과 함께 다섯 가지 마음의 향으로 중도를 의미한다. 대행선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통해 정향이 설법됐음을 설명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또한 정향이 대행선의 핵심 가르침인 주인공과 연결된다는 점을 짚었다. 초기불교에서 정학이 삼학의 요소로 중요한 역할을 하듯이 대행선의 정향도 마음을 다루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정 교수는 대행선사의 정학을 초기경전 기준에 따라 정진(精進)’ ‘()’ ‘()’으로 구분했다.

정 교수는 정진과 관련해 대행선의 정진이 노력 차원을 넘어 일상삼매·평등선정과 동등한 위치를 지닌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대행선은 정진을 통해 일상의 삶과 정진을 분리하는 것을 경계한다. 정진을 게으름의 반대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도 주의를 준다정진은 수행의 발전을 통해 노력을 넘어 경계에 시달리지 않는,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로 발전한다고 봤다.

이어 에 대해서는 사띠()가 대행선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긴 어렵지만, 사띠의 기능적 측면을 다루는 염처의 아누빠사나와 동등한 의미를 지닌 ()’이나 관찰의 개념이 등장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어 대행선의 ()’이 대상에 집중하는 의미를 넘어 심봉(心捧)’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확장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심봉은 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집중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심봉은 수행자의 의지처로 확장한다. 동시에 무한한 능력을 발휘하는 곳이라며 대행선의 심봉은 정학을 위한 기준이다. 심봉은 집중의 역할에서 그 의미를 확장, 세상이치의 근원이고 깨달음의 영역으로 펼쳐진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초기불교와 대행선의 비교를 통해 정 교수는 초기불교는 삼학으로 점진적 수행법을 혜학에서 정리하고자 했고, 대행선은 정학으로 삼학이 회통하는 원리를 제안한 것으로 파악된다. 붓다와 대행선사의 가르침은 정학이라는 실천과 체험과정을 강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본 근세 하쿠인 스님과 대행 스님의 대중포교를 비교한 이석환 교수.

대행선사 포교, ‘쉬운 불교에 방점
[대행선학술대회] 이석환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하쿠인 스님과 포교방식 비교
지방포교·기록물 활용 등 유사

일본 에도시대 임제종 중흥조인 하쿠인 에카쿠 스님과 한국 근현대 고승 묘공당 대행 스님의 대중포교 방식은 일반 민중을 향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두 스님은 모두 민중이 불교를 이해하기 쉽게 도왔고, 지방포교에 관심을 기울이며 불교의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석환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는 일본 근세 임제종의 중흥조로 평가되는 하쿠인 에카쿠 스님(1685~1786)과 대행 스님의 포교방식을 비교했다. 그는 하쿠인과 대행의 대중포교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발제했다.

이 교수는 두 스님이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았지만, 민중을 위한 대중포교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에 따르면 하쿠인 스님과 대행 스님은 포교 대상이 일반민중에 집중 지방포교에 관심 문서와 매체를 이용한 기록 문화예술에 관심 교학을 바탕으로 개인의 성불 강조 등에서 포교방법의 유사성을 보였다.

먼저 하쿠인 스님은 다양한 저서에서 짧은 문장과 의성어 등을 사용하면서 일반인에게 비교적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불교용어를 쉽게 설명했다. 가량 약사여래를 설명할 때는 일체중생의 번뇌를 치료해 마음속의 고뇌를 없애 구제하고, 이것을 표현한 약사에 앉는다고 풀어 설명했다. 대행 스님 역시 1990년대 한자중심의 불교용어를 현대용어로 풀어 반야심경을 비롯한 각종 경전을 대중이 쉽게 이해하도록 도왔다.

이뿐만 아니라 두 스님은 지방포교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하쿠인 스님은 에도를 벗어나 히다지역에서 <관음경>을 중심으로 한 법회를 지속적으로 열었으며, 대행 스님은 전국지원을 개원하고 지방법회를 찾아가 꾸준히 법문했다. 또한 하쿠인 스님이 종이를 사용해 저작물을 남기고, 대행 스님이 녹음과 녹화로 법문을 기록한 점 등도 유사한 포교방법으로 제시됐다.

이 교수는 대행 스님은 생활불교를 바탕으로 일반인 포교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전과 달리 대중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포교를 시작했다특히 현대과학과 학문적인 흐름에 맞춰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단어를 사용, 설법함으로써 불교 대중화에 영향을 줬다. 하쿠인과 대행은 시대는 달랐지만 불교의 핵심을 일반 대중에게 잘 전달해준 선각자이자 대비심을 발현한 보살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어 하쿠인 스님과 대행 스님의 대중포교를 바탕으로 현대의 재가불자를 위한 포교방법을 제안했다. 그는 불자들의 환경운동 참여 독려 사회적 협동기업을 통한 경제공동체 형성 문화활동 투자 등을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제시했다.

이 교수는 환경운동에 대해 불교는 본래 욕심을 버리고 소유를 적게 하는 것을 미덕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현대는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소유하며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있다한마음선원은 이미 EM미생물세제 등을 사용하고, 일회용품 안 쓰기 운동을 펼치며 환경운동에 기여하고 있다. 공업과 공생의 중요성을 강조해 개개인의 생활변화를 이끌어낸다면 전반적인 시너지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종교단체를 통해 경제공동체가 형성되면 교세확장은 물론 사회문제인 빈부격차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익을 문화와 포교에 재투자한다면 단체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다경제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봉사 및 사회사업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구성원의 단순한 참여가 아닌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사업의 질적 향상도 이끌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발표자들의 논문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사부대중.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