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호 연구원, 제2회 성운학술상 대상 수상

한국불교학회는 5월 2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2회 성운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조준호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초빙연구원(사진 왼쪽)이 김성철 한국불교학회장(사진 오른쪽)에게 대상을 받고 있는 모습.

아미타 신앙의 핵심 개념이 초기불교에서 기인한다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됐다.

한국불교학회(회장 김성철)는 5월 2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춘계학술대회 및 제2회 성운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성운학술상 대상의 영예는 조준호 한국외국어대 인도연구소 초빙연구원에게 돌아갔다.

아미타불 異敎 기원 반박해
佛=광명… 초기불교서 근거
아미타불·극락정토 초기 연원
“초기대승 삼매 염불과 관련”


조준호 연구원은 ‘아미타불 신앙의 기원과 전개에 대한 구명- 염불신앙의 본래 의미와 새로운 조망을 위한 시론’ 제하의 논문을 통해 ‘아미타불’ ‘무량광불’ ‘무량수불’ ‘극락정토’ 등 아미타신앙의 핵심 개념들이 초기불교에서 기원하고 있음을 문헌적 전거를 통해 심층적으로 고찰했다.

그간 아미타불 신앙의 기원은 힌두교나 페르시아 등 외부 영향에서 비롯됐다는 외부 기원설에 무게가 더 실려 있었다. “아미타 신앙은 초기불교로부터의 발전적 전개를 통해 이뤄졌다”는 조준호 연구원의 주장은 외부 기원설을 정면에서 반박한 것이다.

시상식 이후 조준호 연구원이 자신의 수상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아미타불(阿彌陀佛)은 ‘Amitbha’의 음역으로 ‘무한한 빛의 부처님’이라는 의미다. 이는 의역으로 ‘무량광불(無量光佛)’로 옮겨졌다.

조준호 연구원은 “초기불교에서 이치를 통찰하는 체험 또는 진리 체험은 광명과 함께 한다. 나아가 사무색정과 상수멸정에 이르기까지도 광명과 청정은 지속된다”면서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에 이르는 붓다 개념의 본질은 광명에 있다. 이는 아미타불의 기원이 외부 종교에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도 대승불교의 대표 논서인 〈대지도론〉 등에서도 붓다의 광명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대반열반경〉에 이르면 광명과 붓다, 염불은 같은 것으로 설해진다.


조준호 연구원은 “대승경전에서도 초기불교에 이어 붓다의 본질은 광명임을 천명한다. 광명은 염불과 직결된 관계”라면서 “광명의 붓다관은 대승불교의 기원과 함께 전개되며 정토 염불 신행의 핵심인 무량광 아미타불의 개념이 외부가 아닌 불교 본래의 사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무량광과 무량수 역시 초기불교의 붓다 개념에 근거하며, 극락정토도 불교 삼계 밖의 이교가 아닌 불교의 삼계 안에 있다는 게 조준호 연구원의 주장이다. 조준호 연구원은 극락정토의 위치를 색계 제사선천인 정거천으로 특정하기도 했다.

한국불교학회는 5월 2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2회 성운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수상자들의 기념 촬영 모습.

이 같은 논거를 통해 조준호 연구원은 정토 염불은 완전하게 불교 내부에 근거함을 주장하며 염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그는 “염불 신행의 대승불교 흥기의 발단이다. 초기 대승에 나타나는 선정삼매 대부분은 염불과 관련되며 신앙 실천의 역동성 역시 염불에 있다”며 “염불로서 붓다를 자신의 구체적인 삶 속으로 현실로 역사의 현장으로 현현시킨다. 불교의 종교성은 염불신행을 통해 풍부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불교학회는 시상식 이후에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사바정토-불교적 이상사회는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열린 춘계학술대회는 △어떤 정토를 꿈꿀 것인가(지혜경, 연세대) △불교와 지속가능한 발전(손석춘, 건국대) △공덕과 수행으로서의 보시와 그 현대적 함의(장성우, 동국대) △공유경제시대 불교경제학의 미래(김성옥·이상호)가 발표됐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