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불교중앙박물관 테마전
‘나들이 나온 나한’, ‘불심의 향연’
4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보물 4 포함 총 35건 69점 전시

나한신앙과 불교공예를 주제로 한 전시가 열린다. 불교중앙박물관(관장 송하)은 4월 2일(개막식 오후 3시)부터 7월 31일까지 2019년 테마전 ‘나들이 나온 나한’과 ‘불심의 향연’을 개최한다. 보물 4건을 포함해 총 35건 69점의 유물을 전시한다.

‘나들이 나온 나한’ 전에서는 여수 흥국사 응진당에 봉안되었던 석가모니 삼존불과 십육나한상(1655), 십육나한도(1723, 보물 제133호)를 선보인다.

흥국사 16나한상(1655)
흥국사 소대(조선후기)

1196년(고려 명종26)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한 여수 흥국사는 조선후기 의승수군 활동의 중심지로 대표적인 호국사찰이다. 흥국사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 응진당에는 삼존불, 십육나한 및 권속 등 총 27존의 조각상과 7폭의 그림이 봉안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석가삼존불과 십육나한상은 1655년(효종 6)에 인균 스님이 조성했다. 인균 스님은 17세기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조각승으로 그의 개성이 드러나는 나한상도 여러 점 전한다.

십육나한도는 1723년(경종 3)에 의겸 스님이 그린 것으로 자유로운 존상 자세와 짜임새 있는 배치, 새로운 도상의 수용, 수묵화기법의 활용 등 조선 후기 십육나한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조각승 인균 스님과 화승 의겸 스님의 격조 있고 아름다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응공(應供), 살적(殺賊)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나한은 불법(佛法)에 귀의해 일체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은 경지를 말한다. 경전에 나타난 나한은 신통력을 지니고 불법을 수호하여 중생들이 현세에 복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

불교공예품의 쓰임을 이해하고 우수한 예술성을 감상할 수 있는 ‘불심의 향연’ 전에서는 2월 26일 일괄 보물로 지정예고된 인각사 출토 공양구(통일신라 8~9세기, 인각사)와 흥국사 소대(조선 후기),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1334년, 보물 제321호) 등이 전시된다.

인각사 묘탑 공양구는 2008년 발굴조사 중 승탑지에서 발견됐으며, 병향로와 정병, 향합, 이중합, 금고 등과 금동가릉빈가상이 함께 발견되어 통일신라시대 공예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인각사 공양구는 출토지가 명확하고,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어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높고,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기법도 돋보인다.

불교공예는 사찰에서 수행과 신행을 위해 쓰이던 많은 기물들을 말하며, 목적과 기능에 따라 크게 의식구(儀式具), 공양구(供養具), 장엄구(莊嚴具)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불교공예품은 단순한 공예품이 아닌 의식을 통해 불보살과 교류할 수 있는 상징적이면서 기능적인 매개체로, ‘의식’과 ‘장엄’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통해 예배자가 불보살을 장식하고 공양ㆍ예배할 수 있도록 이끄는 성보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번 전시에는 박물관이 기증받은 유물 중 일부를 특별 공개한다. 원행 스님이 기증한 달항아리를 비롯해 스님들이 수행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했던 용품과 유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02)2011-1966.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