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백운 스님(사진 왼쪽) 비판세력이 결집하며 내홍이 커진 태고종과 제36대 총무원장 원행 스님(사진 오른쪽) 취임 이후 안정세에 접어든 조계종. 전통종단인 두 종단은 '갈등'과 '안정'의 가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길을 걸었다.

2018년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전통종단들이 안정과 갈등이라는 냉온탕을 오간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각 종단 수장들의 지도력과 도덕성을 중심으로 논란이 불거지면서 조계종은 갈등에서 안정으로, 태고종은 안정에서 갈등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다.

수장 교체로 쇄신 조계종
2018년은 조계종 현대사에 있어서 유례없는 해였다. 지난해 당선된 제35대 총무원장 설정 스님에게 제기된 친자의혹이 올해 봄 공중파의 전파를 타면서 여론이 급격하게 등을 돌렸다. 조계종은 교권자주위원회를 구성해 각종 의혹을 조사했지만 친자의혹만큼은 밝히지 못했다. 설정 스님은 유전자 검사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전했지만 정작 딸로 지목된 여성의 행방이 캐나다에서 끊겨 찾을 수 없었다.

그나마 딸로 지목된 여성의 친모가 공중파 방송 이후 미국에서 조계종에 연락을 취해 설정 스님의 자식이 아니다고 밝혔으나, 하와이 무량사 주지 도현 스님이 과거 친모와의 대화를 담은 녹취파일을 공개하면서 진흙탕 진실공방이 번졌다.

종단 내 갈등이 점차 거세지자 교구본사주지들을 비롯해 중앙종회까지 설정 스님의 용퇴를 호소했다. 이 과정에서 설정 스님은 용퇴 입장을 밝혔다가 번복하면서 내홍이 더욱 깊어졌고, 결국 설정 스님은 조계종 역사상 처음으로 중앙종회 불신임 결의를 받았다. 총무원장 취임 10개월 만이었다.

조계종은 이후 직무대행체제에 접어들어 총무원장 선거에 돌입했다. 지난 9월 치러진 선거에서 소통과 화합을 천명한 원행 스님이 제36대 총무원장에 당선, 조계종은 빠르게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원행 스님은 교구중심제 비구니 위상강화 승려복지 확대 등을 공약으로 발표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파국 예상되는 태고종
태고종은 지난해 총무원장 편백운 스님 취임 후 올해 초까지 안정적인 종단운영이 이뤄졌다. 무엇보다 과거 종단분규사태 원인이었던 부채 약 50억 원을 해결하면서 장밋빛 미래를 꿈꿨다. 하지만 종단 안정은 오래가지 못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지역종무원을 중심으로 집행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편백운 스님 역시 이에 대응해 종법절차와 무관하게 대전종무원장을 직권면직하고, 전북교구 관할 사찰을 중앙으로 옮기면서 반대파와 대립했다.

종단 내홍이 극에 달하면서 이달에는 급기야 길바닥 종회까지 열렸다. 집행부가 총무원 사용을 불허하면서 총무원사 앞에서 노상 종회가 개회한 것. 이 자리서 종회는 규정부 소환을 막고자 회기를 내년 315일까지 100일간 이어갈 것을 결의하고, 집행부 특별감사 결과로 비판의 날을 세웠다. 반면 편백운 스님은 종회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태고종 내홍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불교 외면한 정부 문화정책
종단 외적으로는 정부의 일방적인 자연공원법 개정안, 지방세법 개정안 추진 등이 도마에 올랐다. 불교계는 법 개정으로 인한 영향이 지대함에도 불교계와 소통하지 않은 관련 부처에 강력히 항의했다. 이와 함께 불교계는 문화재관람료 징수문제와 고속도로 표지판서 사찰명을 철거하는 일 등 현안을 해소하는 데 미온적인 정부에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다행히 법안 개정은 현재 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부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다만 문화재관람료와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다. 이에 국립공원 토지의 7%가량을 제공하는 조계종은 각종 포럼과 강연을 통해 현재 정부의 공원정책 문제점을 짚고, 바로잡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