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대 교수, 11월 17일 한국미술사硏 학술대회서

서울 흥천사에 봉안된 수월관음보살 삼존상이 조선 후기 조각사를 대표할 만한 중요한 문화재임이 확인됐다.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는 11월 17일 (사)한국미술사연구소와 한국불교미술사학회가 개최한 ‘600년 왕실 원찰 서울 흥천사 불상 학술대회’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수월관음에 선재·용왕 협시
흥천사 外 2곳만 희귀 사례
“18세기 양식 대표 기준작”


문명대 교수는 ‘흥천사 불상의 성격과 1701년 법잠(法岑) 작 목조(木造) 수월관음보살 삼존상 및 복장품 연구’ 기조 강연에서 흥천사 수월관음삼존상의 도상 특징에 주목했다.

흥천사 수월관음삼존상은 주존인 수월관음상과 함께 좌우로 선재동자와 용왕이 협시돼 있다. 이 같은 도상은 서울 흥천사 이외에 보은 법주사, 남해 보리암 등 3곳에만 존재한다.

문명대 교수는 “흥천사 관음보살 삼존상은 선재동자와 용왕 또는 청조와 정병의 도상으로 이런 사례는 두 곳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법주사는 협시가 너무 작고, 보리암은 연대가 없는 작은 불감이어서 흥천사 삼존상이 유일한 예배상이기 때문에 크게 중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흥천사 수월관음삼존상은 조성기로 통해 1701년 법잠 스님이 조성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래 전북 임실 신흥사 적조암에 봉안돼 있었지만, 언제 현재의 흥천사로 이안됐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이에 문명대 교수는 “성북구 시기 흥천사의 신앙적 성격이 석가불에서 아미타불로 변했기 때문에 협시인 관음보살상이 크게 중요시 됐을 것”이라며 “법잠의 수월관음삼존상의 이안 시기는 19세기 중엽 전후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명대 교수는 흥천사 수월관음삼존상이 18세기 초기 대표작임을 거듭 강조했다. “사각형의 친근하고 원만한 얼굴, 벌어진 상체 등과 함께 화려한 보관은 색난계 목조보살상에서 주로 표현되는 양식”이기 때문이다.

이에 문명대 교수는 “1701년 법잠 스님이 조성한 흥천사 수월관음삼존상은 18세기 보살상 양식을 대표하는 기준작”이라면서 “조선 후반기 조각사에서 귀중한 의의를 가진 대표작 중 하나로 높이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날 학숟대회에서는 △흥천사 목조 아미타불상과 대세지보살상 연구(심주완 조계종 호계원 팀장) △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시왕상 연구(주수완 고려대 전 교수) △흥천사 노전 약사(1829)·아미타·지장보살상 연구(유근자 동국대 겸임교수) △흥천사의 불교사상(문무왕 동명대 연구교수) △흥천사 창건기의 문화재, 흥천사 동종 조사의 감동(최응천 동국대 교수가) 등의 연구 논문이 발표됐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