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운동 헌신… 4.3 가담 혐의로 행방불명

원문상 스님이 주석했던 제주 하원동 법화사의 전경. 마을 사람들에게 스님은 투철한 민족주의자로 지역민들의 계몽운동에 앞장선 이라고 기억되고 있다. 사진은 1937년 부처님오신날 행사 모습.

해방공간의 지식승이자 교육자로 잘 알려진 만허 원문상(滿虛 文常, 1908~1950) 스님은 교육계와 불교계 원로인 조명철(85) 前 혜향문학회 회장의 평생 불심의 뿌리가 돼준 큰 스승이다.

스님은 1945년 12월 관음사 제주읍내 포교당인 대각사서 열린 ‘조선불교혁신 제주불교승려대회’의 부의장을 맡아 불교혁신을 주도했다. 1947년 고향인 하원으로 돌아온 스님은 중문중학원에서 역사와 한문, 동양사 등을 가르치며 교육자의 길을 걷다가, 1948년 당시 중문중학원 1학년으로 입학한 조명철 회장과 사제지간으로 인연을 맺게 된다.

중문중 설립자 원문상 스님, 제주불교 혁신 주도해
‘좌익사상극렬자’ 분류…예비검속에 체포·사망 추정
마을 주민들 “민족주의자이자 계몽운동 의인” 기억


14살 무렵 청소년 시기에 조 회장의 눈에 비친 원문상 스님은 스님이 아닌 교사였다. 스님은 왜소했지만 박식함에 막힘없는 언변과 열정의 에너지까지 갖춘 분으로 기억했다.

“원문상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가장 존경받는 스승으로 유명했어요. 우리에겐 역사를 가르치셨는데 책을 보지 않고도 우리나라의 역사를 꿰뚫고 계신 분이었죠. 특히 학생들을 가르치면서도 일방통행이 아닌 소통을 하셨지요. 늘 역사가 아닌 인생의 이야기든, 종교 이야기든 늘 질문을 하라고 하셨습니다.”

작은 키에 똘똘했던 조 회장을 스님은 애제자로 아끼셨던 모양이다. 하루는 오전 수업을 마친 후 함께 갈 곳이 있다며 법화사로 향했다.

“그날이 부처님오신날이었던 것 같아요. 법화사에 도착하니, 대웅전 중심에 긴 기둥을 세워놓고 운동회할 때 다양한 국기를 걸어놓듯 그렇게 많은 국기가 걸려있고, 주변에는 등도 많았지요. 당시 법화사에는 서귀포에서 안덕면 사람들까지 신도였으니까 사람들로 야단법석이었어요. 선생님이 요사채에서 나오시더니 가사장삼을 하고 나오시는 겁니다. ‘아! 선생님이 스님이셨구나’라고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당시 중문중학교는 번듯한 학교 건물이 아니라 중문 향사를 빌려 중학원을 개원했다. 중학원은 원문상 스님과 이경주 선생 중심으로 건립됐고, 학교장은 이성주 선생이었다. 하지만 1948년 4·3 발발 후 이성주 선생이 육지로 피신하면서 이경주 선생 중심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4·3의 발발로 무장대에 의해 향사가 불타면서 중문 마을 창고에서 2학년이, 중문 예배당에선 1학년이 수업을 겨우 지속하는 등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이었다.

“당시 중문에 주둔했던 서봉오 중위가 남부일 소령에게 중문중학교를 새롭게 신축해 달라는 제안을 했어요. 주민들과 군인들이 삼나무를 베어서 군인 트럭으로 운반을 하면 학생들이 밤새 나무를 지키곤 했죠. 그 당시는 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해서 귀했어요. 지금 생각하면 학생들의 입장에선 참으로 고마운 분들이셨습니다.”

중문중학원은 처음에는 중학원 인가 학교였으나 제주 4·3 서귀포지역 진압군 사령관인 전부일 소령의 배려로 인근 삼나무를 벌목해서 다시 세워졌다. 그 고마움의 뜻을 전하고자 소령의 가운데 ‘부’자와 중문의 ‘문’자를 따서 ‘부문중학교’로 개칭했다. 부문중학교는 1950년 4월 정부 인가 정식학교로 인정받는다.

하지만 교육자인 원문상 스님과 이경주 선생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며 예비검속으로 행방불명됐다. 스님은 당시 승단에서도 개혁적인 생각을 갖고 계셨던 분이다. 당시 지식인층은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이 강했다. 그 때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물들지 않은 지식인이 없을 정도였기 때문이다.

원문상 스님.

당시 부문중학교에는 서북청년단 출신 인물이 교감으로 부임했고, 설립자인 원문상 스님과 이경주 선생과의 마찰은 뻔했다. 1950년 8월 원문상 스님과 이경주 선생은 4·3 가담혐의가 덧씌워져 군경에 체포됐다고 한다. 그러나 스님이 어떻게 생을 마감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1950년 7월 서귀포경찰서 ‘공무원 구속자 명부’에 의하면 원문상 스님은 ‘좌익사상 극렬자’로 기록되어 있었고, 이경주 선생의 경우 ‘망원경을 소지해서 산사람하고 연락했다’는 기록이 돼있다. 하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는 투철한 민족주의자로 지역민들의 계몽운동에 앞장선 의로운 분이라고 기억되고 있다.
 

한금순 박사가 바라본 제주 4·3- 법화사

법화사, 소개령 後 토벌대에 전소
한국전쟁 당시 육군 숙영지 전락

 

법화사는 서귀포시 하원동에 있는 조계종 제23교구본사 관음사 말사다.

제주4.3사건 시기 법화사는 소개령으로 법당과 요사채를 비우고 부처님을 모시고 하원 마을 안으로 들어가 초가로 절을 짓고 살았다. 장한택 스님은 하원 마을 성안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한글과 주산을 가르치는 문맹퇴치운동을 했다. 아이들은 법당에서 연극 연습을 해 마을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1948년 10월 소개령 이후 토벌대에 의해 법화사는 전소됐고 1950년 3월 장한택 스님이 허술하게나마 복원했다는 증언도 있다. 법화사는 장한택 스님이 드나들며 관리했다.

1952년 한국전쟁 시기 법화사는 육군 제3숙영지로 사용됐다. 대웅전을 숙영지 본부로 사용했고 법화사 경내 논을 메꾸어 연병장으로 사용했다. 경내에 사병 막사가 지어졌고 법화사 위 지경은 군인들의 사격 훈련 등 훈련 장소로 활용됐다.

당시 숙영지 소장의 어머니가 불자라서 대웅전을 군인들이 쓰는 것을 보고, 새 대웅전을 지어놔야 한다고 해 소장이 장한택 스님을 찾아 새 대웅전 자리를 물색하게 했다. 장한택 스님과 신도회장 등이 모여 새로운 위치를 선정해 기반 공사를 군인들과 함께 시작했다. 기반 공사를 하던 중 소장이 떠나고 다른 사람이 부임하면서 재건은 지지부진해졌다.

후일 장한택 스님과 신도들이 법당과 요사를 다시 재건했다. 원래 법당과 요사채는 현재 경내 법화수 지경에 있었다. 새로 재건된 법당은 현 대웅전 자리이다. 그 법당을 허물고 1987년 다시 현재의 대웅전을 지었다. 현재 구품연지는 연병장으로 사용하던 곳이다.

1951년 1.4후퇴 이후 전쟁이 격화되며 대구에 있던 육군 제1훈련소는 1951년 1월 22일 제주도 모슬포로 이동 설치됐다. 전투가 격화됨에 따라 하루에 500명 정도 입소하던 군인들이 8만 명 정도가 입소하기도 했다. 제주도의 제1훈련소에서만 1951년부터 1956년 1월까지 50만여 명의 신병이 배출됐다. 이 시기인 1952년 2월 13일에 법화사에 제3숙영지가 설치된 것이다. 숙영지는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정리됐다.
한금순(제주대 외래교수)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