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절벽’ 곧 도래… 초고령화를 대비하라

지난해 한국은 ‘고령 사회’로 진입했다. 통계청은 한국의 고령 사회 진입을 2018년으로 예상했지만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심화하면서 예상보다 1년 먼저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지난 9월 27일 발표한 ‘2018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17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11만 5000명으로 전년 677만 5000명보다 34만 명 증가했다. 고령 인구 비율은 2016년 13.6%에서 2017년 14.2%로 증가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반면 유소년인구(0∼14세)는 2016년 676만 8000명에서 지난해 663만 2000명으로 13만6000명 감소했다. 고령인구는 급격히 늘고 유소년인구는 줄면서 ‘노령화 지수’(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는 2016년 100.1을 기록하며 역전한 데 이어 지난해 107.3으로 7.2포인트나 급격히 증가했다.

전체 韓인구 중 노인 비율 14.2% 집계
고령화 이후 17년만에 ‘고령사회’ 진입
“불교 초고령화, 일반 사회보다 빠를 것”
포교·종무행정 대비해야 고령 파고 넘어

한국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것은 2000년이다. 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한다. 일본의 경우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데 24년이 소요됐지만, 한국은 17년으로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 이번 통계로 확인됐다.

고령 사회로의 이행은 불교계에게 악재다. 특히 10~20대 불교 인구가 타종교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가족 간 세대 전승도 확고하지 않은 현재 불교 신행문화를 감안하면 새로운 신도를 확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한국인의 개종률은 1984년 17%에서 2014년 10%(한국갤럽, 2015)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세대 전승을 통한 신도 유입이나 전법·포교를 통한 개종이 어려워진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불교계 내부의 초고령화 속도는 일반 사회보다 빠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범수 동국대 생사문화산업학과 교수는 〈불교평론〉 2016년 겨울호 특집에 기고한 논문 ‘불자 노령화에 따른 교단적 대안 모색’을 통해 “한국불교는 2015년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약 20년 뒤에는 승가 인구의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가 신도의 경우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이범수 교수에 따르면 통계청은 2025년 인구를 5천 20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고 이를 비례해 추산하면 불교의 고령화율은 36.3%에 이른다. 이는 통계청이 예상하는 2025년 고령화율 29.4%보다 7%가 많다.

이에 대해 이범수 교수는 “2025년까지 젊은 재가자 유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2035년에는 고령화율이 54%에 달하는 승가와 비슷해질 수 있다”면서 “한국사회의 고령화 비율보다 높아지는 재가자 고령화에 대한 대책과 관련 종책들은 종단 차원에서 연구되거나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대부분 전문가들 역시 고령사회로의 이행은 불교계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김응철 중앙승가대 교수는 “초고령층이 많아지면 법회를 나올 수 없어서 법회 인원이 줄고 사찰 운영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신도 조직 구성도 어렵고, 포교 대상군도 축소될 수 있다. ‘신도 절벽’이 다가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기룡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는 “불교 사찰은 도심보다는 농촌 등 지방에 기반하고 있다”면서 “고령사회로 인한 ‘지방소멸’ 현상은 불교에 적지 않는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지금부터 고령화에 대한 준비를 장기적으로 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불교계 전문가들은 새로운 노년층 포교를 위해서는 그들의 니즈(needs)를 제대로 파악에 맞춤형 포교와 복지 등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 통계청의 올해 통계에 따르면 노인층이 가장 많이 찾는 단체로는 사교 모임에 이어 종교 단체(26.2%)가 가장 많아 신앙적 수요와 욕구는 충분함을 알 수 있다.

이범수 교수는 “신노년층 활용에 필요한 부분들을 세밀하게 파악해 다방면의 준비가 착오없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런 준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불교계 고령화 대책 특별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도수 능인불교대학원대학 교수는 “미래 노인 인구의 니즈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라며 “복지 측면에서 케어인지, 일자리 제공인지 포교 측면에서는 수행인지 활동인지를 고민해서 맞춤형 종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르신과 사찰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사찰 노인대학과 같은 어르신들이 지낼 수 있는 교육과 문화·신행활동 공간과 프로그램이 구축·개발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계종 포교부장 가섭 스님은 “노년층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튜브나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한 포교 모델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불교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통한 어르신 포교는 큰 과제”라면서 “은퇴 이후 평생 쌓아온 삶의 지혜와 인적 인프라를 사찰과 지역 사회에 회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신행의 또 다른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