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오가해/의진 해돈 역해/불교시대사/1만 8500원

대승경전의 기저에는 선리(禪理)가 깔려있다. 일반 독자가 접하기에는 좀 생소하기도 하고 난해하다. 대승경전들의 독해 관문격인 〈금강경〉 이해를 통해 대승경전 전반에 걸친 이해수용의 틀이 잡히고 수선(修禪)의 자세가 갖춰졌으면 한다는게 저자의 바람이다.

〈금강경〉은 현실과 아주 유리된 관념에 치우친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을 통해 도道로 이끄는 친근성이 있다. 부처님이 이 〈금강경〉 법문의 시작으로, 성내로 탁발하심과 보시 행위의 중요성과 한계성, 수행중심 덕목 중의 하나인 인욕바라밀을 특별히 강조한 것들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중생들이 일상의 생계생활에서 뜻만 있으면 무리 없이 그대로 불교의 〈금강경〉 사상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승불교권의 국내 대표 선종파인 ‘조계종’이 이 경을 소의경전으로 정한 것도 우연의 일치가 아닌 듯싶다.

금강경오가해가 금강경 원문을 해설한 것이라고 하나 뜻을 풀이한 선사들이 제각각의 선리로 풀이해 놓아 혹간 독자들이 차라리 원문보다 더 어렵게 여길 정도이다. 그래서 불교를 불학으로 접근함보다 특별히 불도로 접근하면서 수도코자 하는 자는 바로 의미경계파악이 중요하니 그에 부응하여 한문에 가리어 난해한 의미를 여기 순 한글판 〈금강경오가해〉로 좀 수월하고 매끄럽게 읽히도록 해석한 것이 장점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