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죽음관·근대 종단 성립 연구 ‘눈길’

2018년 가을학기에 동국대에서 11명의 불교학 박사가 배출됐으며, 중앙승가대에서는 1명,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도 1명의 박사가 배출됐다. 이들 가을학기 박사 학위자들의 박사 논문을 3회에 걸쳐 소개한다.

한역 불전으로 살핀 불교 죽음관

도현 스님(중앙승가대)

도현 스님(중앙승가대 역경학 전공)은 ‘불교에서의 죽음(死有)에 대한 연구- 시대별 한역 불전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현 스님은 4아함경을 중심으로 한 초기불전에서 죽음 관련 어원과 명칭, 삼계, 12연기, 열반을 중심으로 당시 사유 관련 내용 및 인식을 고찰했다. 스님은 “초기불전에는 직접적으로 ‘사유’라는 용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삼계·삼유·연기·열반 등을 통해 죽음 관련 의미와 명칭, 과정, 현상 등이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대비바사론>과 <구사론>을 중심으로 한 부파불전에서는 초기불전과 달리 ‘사유’의 명칭과 그 과정이 명확히 나타난다는 것이 스님의 분석이다. 도현 스님은 “부파불전에서는 죽음에 대해 다양하게 설하면서 사유와 본유·중유와의 연관성을 분명히 드러내어 초기불전에 비해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사유관(死有觀)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정법념처경>, <대보적경>, <중론> 등을 중심으로 한 대승불전은 초기·부파불전에 비해 사유와 열반에 대한 의미와인식이 더욱 명확하다. 스님은 “대승불전에서는 초기불전과 부파불전의 사유관련 인식을 전제로 사유와 중유의 과정, 열반을 통해 사유와 중유의 연관성, 사유와 열반에 관한 인식 등을 명확히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탄허 스님 ‘사교회통’사상 분석

문광 스님(한국학중앙연구원)

‘탄허 택성의 사교회통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문광 스님(한국학중앙연구원)은 불교·유교·도교·기독교 등 4개 종교에 대한 회통사상을 펼친 탄허 스님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출가 전 유가와 도가를 섭렵하고 한암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탄허 스님은 3년 간 묵언참선 수행을 하고 7년 간 교학을 공부했다. 불교 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해부되지 않았던 노장학을 자득했고 한문본 <성경>을 독파해 기독교에 대해서도 선적 안목으로 해석했다.

문광 스님은 탄허 사상의 핵심을 선과 화엄의 완전한 융회로 보았으며, 그의 사교회통의 원리 역시 선사상과 화엄사상을 함께 원융한 것으로 파악했다.

문광 스님은 탄허 스님이 선(禪)에서는 ‘심성(心性)’과 ‘성(性)자리’를 종지로 삼았으며 화엄에서는 ‘성기(性起)’와 ‘무애(無碍)’를 회통의 중심원리로 삼았음을 논증하며 “탄허의 사교회통사상은 한국불교의 정체성 담론에서 그동안 논란이 됐던 회통불교의 전통이 현대적으로 새롭게 되살아났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종단 형성 어떻게

김성연(동국대)

김성연 박사(동국대 사학과)는 ‘일제하 불교 종단 형성 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성연 박사는 한국불교가 어떤 모습으로 근대화의 과정을 거쳤는지를 종단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에 따르면 조선불교가 종교로서 근대화하기 위해 지향한 조직이 종단이었음을 주목하고 특히 선종의 전통성을 강조하며 선종 종단 설립에 매진했다. 일제강점기 불교 중앙기구의 발전 양상을 보면, 점차 조선 불교를 총괄하는 통제권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를 밟아 나갔다. 연합제규, 재단법인 기부행위정관, 종헌 등은 중앙 행정 및 재정 확보에 있어 중앙기구의 통제권을 한층 강화해 나간 규정들이었다.

특히 종헌을 바탕으로 삼권 분립의 중앙 행정기관을 정비한 것은 종단 성립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종단은 본산 주지 임명권이나 재산을 처리하는 재정권을 갖지 못한 불완전한 형태여서 운영상 한계는 노정돼 있었다.

이에 대해 김성연 박사는 “1929년의 종헌, 1941년의 조계종이 있었기에 해방 후 불교 재건 노력과 종단 설립에 대한 의지를 이어갈 수 있었고, 비구-대처 대립을 넘어 1962년 통합종단 대한불교조계종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설명하며 “특히 1941년 조계종 총본사가 세워진 이후 안정된 독립 재정구조가 정착되면서 종단체제의 재정기반이 마련됐던 점은 이후 불교사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고려~조선 불교조각 복장 특성은

이선용(동국대)

이선용 박사(동국대 미술사학과)는 ‘한국 불교복장의 구성과 특성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선용 박사는 고려부터 조선시대까지 불교 조각의 복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했다. 이를 위하여 한국 복장의 전형을 마련한 고려시대 이전 복장의 시원 형식을 추정하고 중국과 일본의 복장과 비교함으로써 한국 복장의 형성과 전개에 대하여 살폈다.

또한 <조상경>을 토대로 물목의 전개와 흐름, 불화로 확산된 불교복장의 요소, 오방으로 규범화된 사상을 통해 한국 불교복장의 특징을 규명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의 초기 불교복장은 사리신앙을 기반으로 형성됐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 이미 중국, 일본과 다른 공간·의식적 규범을 마련했으며, 이를 복장으로 정의했다. 밀교가 결합된 사상은 구체적인 물목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 고유의 불교복장을 형성·전개했다.

또한 조선시대 불교조각의 복장에서 표현할 수 없었던 복장의식과 점안의식을 불화에 접목시켜 물목과 의식에 기반을 둔 <조상경>의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했다.

이선용 박사는“복장은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연구할 수 있는 주요한 대상으로 주목받지만 하나의 대상으로만 간주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면서 “한국의 불교복장은 사상과 물목, 그리고 의식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한국불교와 미술의 역사·사상적 산물이자 시대·문화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미술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