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24일 지정예고… 동화사 아미타여래삼존상 등도

보물로 지정예고된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과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등이 국가 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자치통감 권129~132’ 등 4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7월 24일 밝혔다.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7세기 중엽 전라·경상지역에서 활동한 조각승 희장(熙壯) 스님을 중심으로 총 9명의 조각승이 공동으로 참여해 1665년(현종 6년)에 완성한 불상이다. 가운데 석가모니불상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 1구의 보살상으로 구성된 삼존(三尊) 형식이다.

삼존의 보존 상태와 구성 등이 조성 당시의 모습을 거의 완전하게 갖추고 있으며, 복장물 역시 안치 당시의 모습에서 크게 훼손되지 않고 발견돼 불상 조성과 17세기 복장법식 연구에도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성보다.

보물로 지정예고된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높이 2m 이상의 대형 불상조각으로, 17세기에 가장 비중 있게 활동한 조각승인 현진(玄眞) 스님의 작품이다. 좌상의 아미타불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을 배치하였는데 좌상과 입상이 삼존에 모두 등장한 것은 이 시기 삼존상으로는 드문 구성이다. 관음보살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현진을 중심으로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1629년(인조 7년)에 조성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 불상은 온화한 얼굴과 무게감 있는 신체 표현 등 현진의 개성을 잘 보여주며, 17세기 전반 목조 불상 중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홍도의 마지막 역작인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는 그가 57세 때인 1801년(순조 1년)에 그린 8폭 병풍 그림으로, 1801년 순조의 천연두 완쾌를 기념하여 만든 4점의 병풍 중 한 점이다.

 ‘자치통감 권129~132’은 1436년(세종 18년)에 간행한 <자치통감>의 판본 가운데 권129~132에 해당하는 책이다.  ‘자치통감 권129~132’는 인출(印出) 발문이 없으나, 지정된 다른 자치통감과 비교했을 때 경복궁 사정전(思政殿)에서 편집하고 1436년 주자소에서 간행한 판본임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은 ‘진도 쌍계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