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도품-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그림=조향숙

 

불교의 근본 교리인 연기법, 4성제, 12처, 18계, 5온을 공부하면서 고(苦)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알았습니다. 초기 불교에서는 고에서 벗어나는 길, 그러니까 깨달음에 이르는 37가지의 수행법 ‘37조도품(助道品)’을 일러주고 있습니다. 그 가르침의 내용은 7항목으로 4념처, 4정근, 4신족, 5근, 5력, 7각지, 8정도입니다. 37보리분법(菩提分法), 37각지(覺支)라고도 합니다.

‘4념처·8정도’ 핵심 수행
계정혜 삼학에 포함
서구, 마음치유에 활용

*4념처(四念處·四念住)는 몸과 느낌, 마음, 법을 통찰하여 무상, 고, 무아를 깨닫는 4가지 수행법입니다.

① 신념처(身念處) : 호흡과 동작을 관찰, 몸은 부정(不淨)한 것임을 알아차림. ② 수념처(受念處) : 느낌에 따르는 고통의 생멸을 봄. ③ 심념처(心念處) : 생멸변화하는 마음의 무상함을 관함. ④ 법념처(法念處) : 자아의 실체가 없는 무아를 알아차림.

4념처는 부처님께서 가장 강조하신 마음공부로서 마음을 깨어있게 하는 위빠사나(觀) 수행입니다.

4정근(四正勤·四正斷)은 선법(善法)을 증대하고 악법을 멀리하는 4가지 바른 노력입니다.

① 단단(斷斷) : 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는 노력. ② 율의단(律儀斷) :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미리 방지. ③ 수호단(隨護斷) :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을 생기도록 노력. ④ 수단(修斷) : 이미 생긴 선을 더욱 증대시키는 노력.

4신족(四神足·四如意足)은 신통을 얻기 위해 선정에 드는 4가지 성취 방법입니다. 여기서 신통이란 삼매가 깊어져 8고(苦)에서 벗어난 마음입니다.

① 욕신족(慾神足) : 선정에 들기를 원함. ② 정진신족(精進神足) : 선정에 들려고 노력 ③ 심신족(心神足) : 마음을 가다듬음. ④ 사유신족(思惟神足) : 사유하고 주시함.

5근(五根)은 도의 뿌리를 깊이 내려 번뇌를 여의고 깨달음에 이르는 5가지 기능입니다.

① 신근(信根) : 믿음 4불괴정(不壞淨). ② 정진근(精進根) : 정진 4정단. ③ 염근(念根) : 마음챙김 4념처. ④ 정근(定根) : 삼매 4선(禪). ⑤ 혜근(慧根) : 통찰지 4성제.

5력(五力)은 5근보다 진전된 수행단계로 일체의 장애를 정화하는 5가지의 힘입니다.

7각지(七覺支)는 깨달음의 지혜를 증득하는 7가지 인자로 念, 擇法, 精進, 喜, 輕安, 定, 捨입니다.

8정도(八正道)는 열반에 이르는 8가지 바른 수행의 길입니다. 8정도가 계·정·혜 삼학의 수행 방법인 것처럼, 37조도품은 삼학에 포함됩니다.

*37조도품의 핵심은 4념처(위빠사나·觀)와 8정도(사마타·止)입니다. 그러므로 37조도품은 지관법과 간화선 수행의 모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구에서는 마음챙김 사념처를 스트레스 완화와 우울증 치유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음챙김은 뇌과학, 심리학에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37조도품은 고(苦)에 묶여 있는 자기를 해방시키는 수행입니다. 맹구우목(盲龜遇木)이란 말씀처럼 백천만겁난조우한 불법의 인연이 헛되지 않도록 근기에 맞는 도품을 택하여 행복의 숲을 가꿉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