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처 순환. 그림=조향숙

 

18계(界)는 지난주에 공부한 12처와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6근(根)이 6경(境)을 만나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識)이 일어납니다. 6근, 6경, 6식을 합해서 18계라고 하는데, 인식을 성립시키는 18가지 요소를 뜻합니다.

내적 인식기관 6근은 눈의 요소(眼界)·귀의 요소(耳界)·코의 요소(鼻界)·혀의 요소(舌界)·몸의 요소(身界)·마음의 요소(意界)입니다.

두손 마주쳐 소리나듯
根과 境에 의존 識 생겨
감각기능 제어못하면 ‘苦’

외적 인식 대상 6경은 색계(色界)·성계(聲界)·향계(香界)·미계(味界)·촉계(觸界)·법계(法界)입니다. 대상을 인식하는 마음 작용 6식은 안식계(眼識界)·이식계(耳識界)·비식계(鼻識界)·설식계(舌識界)·신식계(身識界)·의식계(意識界)입니다.

눈을 통해서 색이나 형상을 보고 식별하는 인식작용이 안식입니다. 귀·코·혀·몸 등 다른 감각기관도 마찬가지입니다.

“두 손이 마주쳐 소리를 내듯 눈과 색을 인연하여 안식이 생긴다”

〈아함경 手聲喩經〉에서는 손뼉 치는 소리에 비유, 근(根)과 경(境)에 의존(인연)하여 식(識)이 생기는 것을 일러주고 있습니다.

쪹초기 불교에서는 일체법을 오온, 12처, 18계로 분류했는데 이를 삼과설(三科說)이라고 합니다.

오온은 나로, 12처와 18계는 세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삼과설은 근기에 따른 설법인데, 오온은 마음을 잘 모르지만 짧은 법문으로 제도 가능한 상근기를 위한 설법입니다. 12처는 색법 즉 물질적 현상을 잘 모르는 중근기를 위한 설법이고, 18계는 마음과 물질에 다 어리석어 집착이 강한 하근기를 위한 가르침입니다.

쪹감각기능(根)과 감각대상(境) 그리고 감각 분별식(識)의 만남을 촉(觸)이라고 합니다. 촉에 의존해서 고(苦), 락(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受·감각)이 생깁니다.

이러한 감수작용은 욕망(갈애)을 발생시켜 즐거운 감각에 집착(取)하게 됩니다.

중생이 감각에 집착하는 것은 탐진치라는 악의 뿌리 때문입니다. 쾌락을 추구하는 욕망은 즐거운 대상만을 보고 싶어 합니다. 즐거운 말을 듣기 좋아하고, 향기로운 냄새와 맛에 탐닉하며 즐거운 감촉을 느끼려 합니다. 회오리바람처럼 일었던 미투운동에서 감각적 쾌락을 제어하지 못하는 우리사회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법구경에 이런 가르침이 있습니다.

“꽃(쾌락)을 꺾는 일에만 팔려

제 정신을 차리지 못한 사람은

죽음의 신이 앗아간다

잠든 마을을 홍수가 휩쓸어가듯이”

쪹18계는 세계의 생기(生起) 과정을 12연기와 같은 구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18계의 가르침을 통해서 자기 자신이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세계를 창조해가는 존재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일체법에서 존재의 무상과 무아를 보면 감각에 집착하지 않게 됩니다.

안이비설신의 감각기관을 잘 다스려 탐진치를 멀리할때 그 청정함이 우리의 생각과 언어로 나타나 행복이 피어납니다. 한 마음이 청정하면 보이는 세계가 다 청정해집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