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총무원장 선출제도 개선 노력이 최근 들어 동력을 잃었다. 중앙종회 관련 특위가 4월에 열기로 뜻을 모았던 공청회는 차치하고, 공식회의마저 3월 이후 열리지 않았다. 이미 오래 전부터 오는 10월 열릴 제17대 중앙종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얼마 못가 지지부진해질 것이라는 대중의 예견이 맞아떨어진 모양새다.

총무원장 선거를 비롯해 교구본사주지 선거, 중앙종회의원 선거 등 조계종 선거법에 대한 대중의 지적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십수 년 전부터 금권선거·야합정치라는 오명이 꼬리표처럼 따라왔으며, 이로 인한 징계사례 또한 줄을 이었다. 선거 때마다 상대후보를 비방하는 흑색선전도 볼썽사나운 모습으로 비쳤다.

이 같은 문제는 조계종 현행 선거형태인 간선제로 인한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종단을 대표하는 총무원장 선거의 경우 321명이라는 소수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대중공의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잇달았다. 이 때문에 직선제나 확대간선제 등의 다른 선거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과 현행 선거제를 악용하는 개개인의 문제라는 주장 등이 오랫동안 대립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종단차원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사실상 이제 공은 제17대 중앙종회로 넘어갔다. 16대 중앙종회가 논의한 내용을 차기 중앙종회가 다시 다룰지는 예단할 수 없지만 이 문제가 반드시 해결돼야 하는 최우선 과제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선거법 개정에 대한 논의의 불을 다시 지피기 위해선 대중의 여론이 필요하다. 종도의 목소리가 모여 종단을 경책하는 준엄한 죽비로 표현되길 고대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