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경매통해 시왕도 환수… 독창적 구도 도상 ‘눈길’

조계종은 5월 16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서 환수공개식을 열고 미국 경매를 통해 환수한 ‘봉은사 시왕도(奉恩寺 十王圖)’를 공개했다.

그간 행방이 묘연했던 봉은사의 시왕도가 종단과 해당 사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긴밀한 협조로 반세기만에 제자리에 돌아왔다.

조계종(총무원장 설정)은 5월 16일 오전 10시 30분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서 ‘봉은사 시왕도(奉恩寺 十王圖)’ 환수공개식을 개최했다.

이날 공개된 봉은사 시왕도는 18세기 조성된 4폭 중 1면으로 크기는 117.2×117.2cm이며, 화기와 장황은 절취됐다.

혼란기였던 1950~60년대 유출
4폭 중 1점… 제2·4대왕 표현
조계종·봉은사 환수 기념행사도


‘봉은사 시왕도’ 환수는 종단과 사찰, 정부기관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신속하게 이뤄졌다. 지난 4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국외경매시장 모니터링 중 미국 경매시장에 ‘시왕도’ 1점을 발견했고, 이를 조계종에 알렸다. 조계종은 곧바로 동시기 추정 시왕도를 이를 통해 해당불화가 18세기에 조성된 <봉은사 시왕도> 4폭 중 1폭임이 확인했다. 나머지 3폭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동국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이에 봉은사와 조계종 문화부,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해당 성보의 정밀 조사 및 환수를 위한 환수추진단을 구성해 현지에 파견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봉은사 시왕도’는 지난 4월 24일에 미국에서 진행된 경매에서 낙찰 받았으며, 원래의 봉안처인 봉은사로 돌아왔다.

환수된 봉은사 시왕도는 4폭 중 1점으로 제2·4대왕이 함께 그려져 있다. 이 같이 시왕이 함께 배치된 구도는 한국에서는 화엄사 시왕도에서만 나타나는 독창적 구도다.

이번에 환수된 ‘봉은사 시왕도’는 문화재적 가치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불화는 화풍 상 18세기 후반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 인종(印宗), 영인(永印), 도준(道俊) 등의 불화임을 알 수 있다.

불화의 도상도 독특하다. 보통의 시왕도의 경우 위에는 시왕이 판관과 사자 등을 거느리고 재판을 받는 모습이 그려져 있고, 아래쪽에는 시왕이 주재하는 지옥에서 망자가 벌을 받는 장면이 각각 1폭 씩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봉은사 시왕도’는 칸을 분리하지 않고 위에는 2존 혹은 3존의 대왕이 나란히 앉아 심판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각각의 지옥장면을 그리는 독특한 구도를 취하고 있다.
환수된 ‘봉은사 시왕도’에는 제2·4대왕이 표현됐으며, 함께 조성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시왕도’는 제1·3대왕이, 동국대박물관 소장 ‘봉은사 시왕도’ 2점은 제5·7·9대왕과 제6·8·10대왕이 함께 그려져 있다.

조계종 관계자는 “시왕들이 모여 있는 도상은 봉은사 시왕도와 화엄사 시왕도에만 보이는 매우 독창적인 구도”라면서 “제2·4대왕을 그린 시왕도가 환수됨으로써 1777년에 봉은사에서 조성된 4폭의 <시왕도>와 10존의 대왕이 반세기만에 국내에 온전히 갖춰지게 됐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한편, 환수된 시왕도는 본래 봉안처인 봉은사로 돌아갔으며, 봉은사는 이를 기념해 16일 오후 2시 환수고불식을 봉행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